통합검색
국악정보 검색결과
-
-
판소리·가야금 명인 강정숙 "藝人의 자존심은 연습량이 말한다"
- ▶ 강정숙 프로필서울 서초구 방배동 주택가. 판소리 '춘향가' 한 대목이 애잔한 가야금 선율을 타고 골목길을 흐른다. 여인의 맑고 청아한 목소리가 떨어지는 복사꽃처럼 흩어진다. 지나던 사람들이 걸음을 멈추고 영혼을 어루만지는 듯한 가락에 귀를 기울인다. 때론 어깨를 들썩이기도 한다. 이 동네 사람들은 이렇듯 심심찮게 우리 가락을 제대로 듣는 호사를 누린다. 건물 4층에 있는 사단법인 가야금병창보존회 덕분이다.가야금병창보존회를 이끄는 강정숙(61) 용인대 국악과 교수는 중요무형문화재 제23호 가야금병창 및 산조 보유자다. 1970~80년대 창극계의 프리마돈나로 명성을 날렸다. 그는 '판소리 명창' '가야금산조 명인' '가야금병창 명인' 소리를 함께 듣는 우리 국악계의 독보적 존재다.환갑을 넘겼지만 가야금 타는 자태는 여전히 고왔다. 명주실 가야금 줄을 누르는 왼손가락 끝엔 팽팽한 긴장이 흘렀고, 오른손가락은 나비처럼 사뿐사뿐 줄 위를 날아다녔다. 그의 스승 향사 박귀희가 "한 포기 고귀한 난처럼 곧은 듯 부드럽고 섬세한 음률의 소유자"라고 한 게 어떤 의미인지 어렴풋이 알 것도 같다. 그는 "요즘은 소리가 더 잘 들린다. 지금 내게 배우는 제자들은 축복받은 것"이라며 웃었다.사무실은 젊은 여성들로 붐볐다. 제자들이라고 했다. 국악 침체기라고 하지만 그의 음악을 전수받으려는 발걸음은 끊이지 않는 모양이다. 제자들이 호리호리하고 미모가 뛰어났다. "외모로 제자를 뽑는 모양"이라고 하자 "아무래도 무대에 설 사람이기에 외모도 본다"고 했다. 보기에 아름다우면 연주도 더 아름답게 느껴지기 때문이란다.國唱을 만나다국악과 인연이 닿은 것은 10대 시절이다. 하루아침에 가세가 기울면서 부모님이 고향 경남 함양을 떠나 전북 남원으로 이주했다. 예향(藝鄕) 남원은 우리 전통예술의 산실."광한루 근처에 살았는데, 스피커에서 하루 종일 판소리 '춘향가' 가락이 나왔어요. 아버지가 임방울 선생과 호형호제 할 정도로 국악과 인연이 많았는데, 언니(강문숙)에겐 판소리, 저한테는 한국무용을 배우게 하셨죠."언니가 남원국악원에서 판소리를 배우는 동안 어린 강정숙은 문밖 귀동냥으로 소리를 익혔다. 그의 소리를 들은 남원국악원 김영운과 강도근이 본격적으로 판소리를 권했다.어렸어도 열정은 대단했다. 판소리를 배우는 한편으로 강순금에게 '신관용류' 가야금 산조를 익히는가 하면, 원광호에게 거문고 산조를 배우기 위해 광주 가는 완행버스에 몸을 실었다. 텔레비전에서 가야금산조의 대가 공철 서달종의 연주를 듣고는 무작정 서울로 올라가 가르침을 청하기도 했다."그냥 좋았어요. 뭐든지 한번 시작하면 스스로 만족할 정도가 돼야 그만두는 성격이에요. 그렇게 하다보니까 어느 날 '내 소리'가 귀에 들리더라고요. 선생님들이 '너는 절대 국악을 그만두지 말라' '넌 대성할 것'이라며 칭찬하고 격려해 주신 것도 큰 힘이 됐죠."그의 인생을 바꿀 첫 번째 기회가 찾아왔다. 1974년 문공부 주최 제1회 전국판소리 명인명창대회가 남원에서 열렸다. 전국의 소리꾼들이 모인 이 대회에서 그는 3등을 차지했다. 1등은 그보다 13세 위인 조상현 명창이었다. '국창(國唱)'으로 일컬어지는 만정 김소희가 심사위원으로 그를 지켜봤다. 어리지만 소리의 위아랫목을 다 갖추고 있음을 알아본 김소희는 그를 서울로 데려가 자기 집 아랫방을 내 줬다. 제자로 삼은 것이다.서울에서 그는 온종일 뛰어다니며 김소희에게 판소리를, 박귀희에게 가야금병창을, 한영숙과 이매방에게 춤을 배웠다. 공철 서달종에게선 가야금산조를 배웠다. 하나같이 국악계의 거목들이었다. 이들의 강습소가 창덕궁 앞에서 단성사 사이 골목에 모여 있을 때라 가능한 일이었다."모두들 어찌나 사랑해주시고 정성으로 가르치시는지 힘든 줄도 몰랐어요. 예인이 누리는 복 중에서 가장 큰 복이 스승 복이라는데, 저는 인간문화재급 스승들의 향기를 듬뿍 쐴 수 있었으니 엄청난 행운아였죠."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GeAQgrhb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판소리·가야금 명인 강정숙 "藝人의 자존심은 연습량이 말한다"
-
-
전설적인 아리랑명창 '김옥심' 을 아십니까?
- 2012년 아리랑이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자마자, 대한민국은 아리랑 열풍에 휩싸였다. 아리랑 관련 각종 공연과 행사가 연일 넘쳐나고 있어, 열풍을 넘어 가히 광풍(狂風)이라 형언해도 부족할 만큼 전국에 부는 '아리랑' 바람이 매섭다.아리랑을 논할 때 빼놓고 얘기해서는 안되는 소리꾼이 있다. 명창 김옥심(본명 김애희. 1925~1988)이 주인공이다. '재야 인간문화재 1호', '1백년에 한번 나올까말까 한다', '하늘이 내었다'느니 하는 화려한 수식어도 이제는 진부하게 들릴 정도로 실력이 출중했던 소리꾼이지만 정작 죽고 나서야 유명세를 떨친 대표적인 소리꾼이다. 김옥심의 성음은 가장 한국적인 정서를 잘 반영하는 것이어서 오죽하면 '말하는 것조차 노래처럼 들린다'는 평가를 듣기도 한다. 김옥심 하면 가장 먼저 떠올리는 노래가 '정선아리랑'이다. 원래 '정선아리랑'은 아리랑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정선 지역에서 불리는 아라리로 긴아라리, 자진아라리 그리고 엮음아라리 등이 있다. 김옥심은 1947년 정선공연중에 현지인들이 부르는 '엮음아라리'에 반해 이를 서울식으로 편곡해 부르기 시작했는데, 그렇게 해서 소위 서울제 '정선아리랑'이 태어났다. 김옥심의 '정선아리랑'은 1950~1960년대 가장 유명한 민요가 되었다. 킹스타, 신세기, 오아시스, 도미도 등 대형음반사들이 앞다퉈 '정선아리랑'을 녹음했다. 심지어 토속민요 '정선아리랑'을 연구하던 학자조차도 김옥심의 편곡된 '정선아리랑'을 토속소리로 잘못 알고 있을 정도로 '정선아리랑'은 김옥심의 전매특허가 되었다. 해당기사 더 보기 ▶ http://goo.gl/oPzvG 공연정보 ▶6월15일(土) 16종의 아리랑을 감상할 수 있는 '겨레가 못다부른 노래 아리랑' 故 김옥심명창 프로필보기 ☞ http://goo.gl/pEXwQ
-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
전설적인 아리랑명창 '김옥심' 을 아십니까?
-
-
다시 부르는 밀양아리랑 - 밀양시의 밀양아리랑 활성화
- 일제강점기 전국 아리랑 중에서도 가장 유행했던 밀양아리랑. 1932년부터 1941년까지 경성방송국에서 방송한 우리나라 각 지역 아리랑 방송 횟수를 보면 밀양아리랑은 총 96회, (본조)아리랑 65회, 진도아리랑 14회, 강원도아리랑 12회, 함경도아리랑 7회였다.(전남대 국악과 이용식 교수의 ‘경성방송국 아리랑소리 방송 횟수’) 이처럼 밀양아리랑은 일제강점기 최고 많은 방송을 탈 정도로 인기가 높았다. 밀양아리랑을 부른 가창자는 대부분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경성 기생 출신의 프로 가수였으나 진도 아리랑 등은 무명의 소리꾼이나 심지어 지역의 비전문가가 부를 정도로 차이가 컸다.또 밀양아리랑은 독립군아리랑 광복군아리랑 파르티잔아리랑 신밀양아리랑 통일아리랑 등 시대에 따라 모습을 달리하면서 전 국민을 아우르는 대표 아리랑으로 사랑받았다.그런 밀양아리랑이 제대로 보존 발전되지 못하면서 지금은 지역에서조차 잘 불리지 않아 잊혀져 가는 교과서 속 아리랑이 되었다.하지만 다행히 지난 2011년부터 밀양시가 밀양아리랑의 가치를 새로 인식하면서 지역에서도 활성화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올 들어 밀양시가 밀양아리랑의 옛 영광을 되찾겠다며 야심차게 나서 제2의 부흥기를 맞이하게 될지 주목된다. 해당기사 더보기 ☞ http://goo.gl/BYA9Q
-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
다시 부르는 밀양아리랑 - 밀양시의 밀양아리랑 활성화
-
-
"국악이 좋아요" 남원 국악방송 개국 12주년 특집 공개방송
- ▶ 남상일 프로필 ▶ 박애리 프로필"국악이 좋아요"에서 마련한 남원 국악방송의 열두 번째 생일잔치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운치있는 고장 남원에서 흥겨운 소리판이 열립니다.국악이 좋아요의 MC 이상화!그리고 각종 매체에서 종횡무진 활약하는 소리꾼 남상일과 박애리가 일일 선생님으로 나서판소리 사랑가를 함께 배우고 즐기는 시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국악이 좋아요"를 통해 누구나 춘향이 몽룡이가 되어보는 특별한 하루!남원에 거주하시는 많은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일 시 : 2013년 5월 28일(화) 오전11시 ~ 12시장 소 : 남원시 노인복지관 대강당 (남원시 금동로 50번지) 진 행 : 이상화출 연 : 남상일, 박애리, 민속악회 수리신청전화 : 02-300-9938, 063-625-9988 * 이번 행사는 무료로 누구나 전화를 통해 신청,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 참여 관객 중 몇 분을 선정하여 국악방송에서 준비한 선물을 드립니다.* 이번 공개방송은 남원 국악방송의 개국 12주년 기념일인 6월 1일 토요일 오전 11시에 방송됩니다. 국악방송 ☞ http://me2.do/xWZtBvCr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국악이 좋아요" 남원 국악방송 개국 12주년 특집 공개방송
-
-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대상 받은 시각장애 소리꾼 이현아
- 《 벽을 넘으면 또 벽이 있었다. 스물네 살 가객(歌客) 이현아 씨의 삶이 그랬다. 지난달 25일 국립국악원이 주최하는 ‘온 나라 국악경연대회’에서 대상(대통령상)에 호명된 순간부터 상을 받고 무대에서 내려올 때까지 울었다. 2년 전만 해도 국악인으로서의 삶은접어야겠다고 체념했던 그였다. 그는 1급 시각장애인이다. 빛도 구별하지 못한다. 임신 7개월 만에 800g 미숙아로 태어나 곧바로 인큐베이터에 옮겨졌다. 갓난아이는 산소 과다 투입으로 망막이 손상됐다. 두 차례에 걸쳐 수술을 받았지만 안구가 파열됐다. 그는 이 시대의 ‘송화’(‘서편제’의 여주인공)다. 그의 맑고 고운 소리에는 애잔함이 깃들어있다. 》2011년 중앙대 국악대를 졸업하기 직전이었다. 대학 동기들은 하나둘씩 취직을 했지만 그를 받아주는 곳은 없었다. 무대에서 노래하고픈 간절한 마음은 잿빛으로 변했다. ‘여기서 소리 인생이 끝나는구나.’ 대학까지 마치고 집에서 놀 수는 없었다. 그는 서울맹학교의 안마사 양성 과정에 지원했다. 합격 통지서가 참담한 마음에 묵직하게 얹혔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x2KqJbvr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대상 받은 시각장애 소리꾼 이현아
-
-
이춘희 명창 “판소리와 달리 민요로 감동주는건 소리꾼에겐 고통”
- ▶이춘희 프로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재되던 날 회의장서 아리랑 세소절만 불렀지만…의상·소리 모두 너무 좋았단 평가에 안도명창이 되기위해 한달간 골방서 연습 고행 거친후 알찬소리 내는법 터득내달 4일 무대서 경쾌한 경기민요 선뵐것 ▶ 공연정보지난해 12월 5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아리랑 등재가 확정된 오후 9시50분 “아~~” 하는 아리랑 첫소절이 회의장 단상 끝에서부터 울려 퍼졌다. 무형유산위원회 각국 참석자들의 눈귀는 단박에 의장석 길을 걸어나오는 흰색 한복을 곱게 차려 입은 한 여성에 쏠렸다.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보유자 이춘희(66) 명창은 “그날 오전 11시부터 한복을 입고 11시간을 기다렸는데, 1초가 아깝더라. 소리를 지르면서 나갔다. 회의석이 ‘확’ 집중되며 호의적인 얼굴로 나를 바라봤다. 그 표정을 보니 자신감이 생기면서 소리가 잘 나왔다”며 역사적인 순간을 떠올렸다.이 명창은 어느 무대에서건 아리랑을 빼놓고 부른 적이 없다. 타고난 목은 장시간 노래를 해도 피곤하거나 잘 쉬지 않는다. 하지만 공연장도 아닌 회의장에서, 시간도 채 1분밖에 주어지지 않아 아리랑의 세 소절밖에 부를 수 없던 그날은 목 상태를 염려할 정도로 초긴장했다. 이 명창은 “공연이 끝나고 나중에서야 의상, 소리 모두 너무 좋았다는 평가를 듣고 한숨 돌렸다”고 털어놨다.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Fv341fTh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이춘희 명창 “판소리와 달리 민요로 감동주는건 소리꾼에겐 고통”
-
-
현재 리투아니아 공연 중인 놀애 박인혜와의 출국 전 만남
- 리투아니아 4개 도시 리사이틀을 앞둔 소리꾼 놀애 박인혜를 떠나기 하루 전날 지난 4월 16일에 만났다. ▶ 박인혜 프로필2011년 창작음악 놀애 박인혜 1집 '청춘은 봄이라'를 선보인 그는, 2011~2012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차세대 예술가에 선정됐다. 한편 올해 월간 객석에서 '차세대를 이끌 젊은 예술가 10인'에 선정됐을 만큼 국악계 안팎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수화기 너머 들려오는 그의 목소리는 무척이나 허스키해서, 마치 김해송이 작곡한 블루스곡을 멋지게 소화했던 가수 이난영과 통화하는 느낌이었다. "제가 말할 때와 노래할 때 다른 것 같아요. 노래할 때 목소리가 더 얇거든요. 성대 결절이 있어서 그런 것 같아요. 우리 성대가 서로 부딪힐 때 목소리가 나오는데. 저는 약간 부어있어요. 그러면 중간마다 새면서 쉰 소리가 나는 거죠. 물론 소리하는 사람마다 달라요. 어떤 사람은 깨끗하기도 하고 또 훈련된 방식에 따라 다른 것 같고요. 월간객석에서는 10명의 예술가를 선정하셨는데 발레나 극작 등 다양한 분들이 계시더라고요. 그중에 국악인은 저와 신현식이라는 아쟁연주자 2명이 있고요" 2012년 10월 20일 그가 리투아니아 아닉쉬체이에서 열린 국제연극축제의 마지막을 장식했던 것은 많은 화제가 됐다. 바로 그 도시 출신의 대문호 안타나스 바라나우스카스의 장편 시 '아닉쉬체이의 숲'을 판소리로 각색해 무대에 올린 것이다. 생전 안타나스는 그런 예언을 했다고 한다. 언젠가 노래꾼 하나가 멀리서 찾아와서 내 시를 노래할 것이라는.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xFlCDSmA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현재 리투아니아 공연 중인 놀애 박인혜와의 출국 전 만남
-
-
국악방송, 2013 봄 프로그램 개편 안내
- "작곡가 박범훈, 소리꾼 남상일, 방송인 김자영! 새 MC맡아..."한국문화의 중심채널 GBF국악방송(본부장 박경규)이 4월 22일(월), 프로그램 부분 개편을 실시합니다. 전통을 기반으로 한국문화의 정체성을 담아내기 위해 노력하는 국악방송은 이번 개편을 통해 국악심층프로그램의 특성을 강화하여 청취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며 보다 전문적인 내용과 대중적 전달 방식으로 국악전문방송의 위상을 강화하고자 음악으로 세상을 그려가는 사람들인 소리꾼 남상일, 정갈한 햇살지기 김자영(방송인), 작곡가 박범훈, 국악의 새로운 문화아이콘을 만들어가는 송혜진(숙명여대 교수)이 진행을 맡게됩니다. 평일 프로그램은 감상용 국악뿐 아니라 유익하고 다양한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문화중심 프로그램으로 거듭납니다. ◇ 신설 프로그램 - 박범훈의 소리연(토 20:00~21:00 진행: 박범훈) - 남상일의 소리소문(일 20:00~21:00 진행: 남상일) ◇ 변동 프로그램 ▷ 확대 · 프로그램명 변경 - 맛있는 라디오 991, 은영선입니다→은영선의 맛있는 라디오 (기존 월~토 18:00~19:30 → 변경 월~일 18:00~20:00) ▷ 시간대 조정 - FM국악당(기존 월~일 17:30~21:00 → 월~금 20:00~22:00) ▷ 진행자 변경 - 창호에 드린 햇살(기존 박애리 → 변경 김자영) - 송혜진의 문화공감 초대석(기존 김성욱 → 변경송혜진) 2013 GBF 국악방송 봄 프로그램 부분조정 편성표 해당 정보 더보기 ☞ http://me2.do/FcZb1vV5
-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
국악방송, 2013 봄 프로그램 개편 안내
-
-
국악계 젊은 피 김보연, “스스로 만족하면 그 예술은 끝난다”
- ▶ 김보연 프로필머리를 곱게 쪽을 진 여인이 윤기가 흐르는 한복을 입고 나타난다. 어깨에서 팔 끝으로 떨어지는 부드러운 능선과 넘실거리는 치마폭에 넋을 잃을 때 즈음 말간 얼굴 아래로 구성진 가락이 터져 나온다. 그 소리가 신통방통하여 꽉 막힌 속이 시원하다. 그러나 제대로 된 ‘국악’소리가 한 번 터지기 위해 젊은 국악인들은 수백 수만 번의 인고의 시간을 보낸다. 고귀한 것일수록 거대한 고통이 수반된다는 진실은 ‘국악’에도 어김없이 작용했다. 퓨전국악이 등장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국악이 살기 위한 환경은 녹록치 않다. 퓨전이 한국의 전통을 세계에 알린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퓨전 도입은 오히려 진짜 전통 국악이 설 자리를 빼앗아 갔다. 외국인들은 오히려 한국의 진짜 ‘전통’ 국악소리가 무엇인지 궁금해 할 정도다. 또 진짜 전통 국악을 하는 ‘명창’이 되는 길도 쉽지 않다. 과거에 비해 소리꾼이 될 수 있는 길이 사방팔방으로 열렸다고 해도 오히려 제대로 된 소리꾼은 줄었다. 이 때문일까, 국악의 젊은 피 김보연(39)씨의 행보는 반갑다. 그는 1988년 명창 김혜란 선생께 경기민요를 사사받고, 2009년 최창남 선생께 선소리산타령을 사사받은 숨은 인재다. 특히 15살 때부터 명창 김혜란 선생의 첫 제자로 들어가 20여 년간 명맥과 피를 이어받고 수련 작업을 계속 이어나가는 중이다. 2011년 첫 독집 음반을 낸 그는 한국 전통 소리를 찾아 점점 잊혀가는 우리 전통을 대중에게 알리고자 노력하고 있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FIhS69eM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국악계 젊은 피 김보연, “스스로 만족하면 그 예술은 끝난다”
-
-
고수 김청만"무대 뒷전인생? 명창 키운 '高手'의 손이라오"
- ▶ 김청만 프로필"테레비에 안 나오니 알간디?"중요무형문화재 된 걸 축하하자 고수(鼓手)김청만(67)이 시큰둥해했다. "공연 끝나도 죄다 소리꾼한테 몰려가고 북 치느라 수고했다는 사람은 없으니 얼른 짐 싸서 돌아와 혼자 소주잔을 기울이지요."말은 그렇게 해도 후보자 된 뒤 22년 만의 경사라 김청만 얼굴에 화색이 돌았다. 안숙선, 오정숙, 박동진, 이매방 등 명창·명무들이 사랑했던 남자다. "장단 없는 음악 없잖아요? 제아무리 명창이어도 고수가 제 역할 못하면 흥이 빠져요. 박동진 선생한테 장단 하나 딱딱 못 맞춘다고 '이 씨버글놈아' 욕먹은 고수들이 얼마나 많았게요." '1고수 2명창'이란 말은 그래서 나왔다.김청만에겐 팬클럽이 있다. 호가 '일통(一通)'이라 '일통고우회'다. "한학자 송정희 선생이 지어주셨어요. 당대에 북을 제일 잘 치는 사람 되라고. '한방에 통하는 소리'란 뜻이니, 전화국에서 그 호 좀 팔면 안 되겠냐고 엄청 못살게 굽디다(웃음)."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5hNo9tO6
-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
고수 김청만"무대 뒷전인생? 명창 키운 '高手'의 손이라오"
공연소식 검색결과
-
-
[경기민요 공연] 3월 11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 - 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 주최 이춘희 주관 이춘희. (사)한국전통민요협회 후원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국악방송예술감독 이춘희 연출 이희문 유현진 기획 김주현 진행 채수현 최수안무대감독 김상엽 무대디자인 이지형 음향디자인 장태순 조명디자인 신동선 영상디자인 오재우 포스터디자인 위원더그룹티켓 국립극장 티켓 R석 5만원 S석 3만원 설립자(設立者)는 기관이나 조직체 따위를 새로 만들어 세운 사람을 말한다. 이번 공연은 조선 초 후기와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 근·현대를 거쳐 오늘날 경기소리의 맥이 이어질 수 있게 한 경기소리의 장본인들 조선 제26대 왕 고종 시절 가무별감 박춘재, 중요무형문화재 제19호 경기 선소리 산타령 이창배,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안비취 이 세분의 <설립자‘들’>을 기리고 전승의 기반을 다지는 한편, 현재 가장 활발히 활동하는 57호 경기소리 예능보유자 단성 이춘희 명창 외 김혜란, 이호연, 김영임 명창 그리고 경기소리의 미래를 이어갈 차세대 소리꾼들이 함께 하면서 미래 경기소리의 향방을 짚어보는 데 큰 개요가 있다. 1) 출연진-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이춘희- 서울시무형문화재 제44호 삼현육각 예능보유자 최경만-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승교육사 김영임, 이호연 -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이수자 서정화, 강효주, 권정희, 이희문, 전영랑, 최정아, 안재현, 채수현, 이덕용, 이은혜, 이미리, 최주연. 성슬기, 정유나, 이소연, 김미수, 김소희(A), 장하리, 김민정, 최수안, 천혜인, 김소희(B), 정유정, 연은지-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전수자 조원석, 이채현, 남경우, 양진수. 조영림, 이능경, 문도희, 최윤희, 왕희림, 김은희, 김도은, 김민지, 김보미, 김사랑, 김연서, 김연진, 김원주, 김주연, 김지민. 김혜진, 김효슬, 김희서, 엄지, 윤세연, 이예진, 이우승, 이지은, 이채은, 제현정, 최예림, 홍재민, 홍주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부수석 거문고연주자 및 작곡가 이재하 - 전통음악집단 샛 (대표 및 장단:이민형, 대금:변상엽, 피리:이찬우, 해금:김승태, 가야금 추현탁)
-
- 공연소식
- 서울
-
[경기민요 공연] 3월 11일 서울 국립극장 해오름 - 설립자(設立者)들 그리고 이춘희
-
-
[국악공연] 2월 2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소리꾼 김율희 '완창판소리 강산제 심청가'
- 1. 공연명 : 김율희 '완창판소리 강산제 심청가'2. 장소 :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2월 26일 (일요일)4. 시간 : 오후 2시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2-3210-7001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김율희 프로필. 고수 이준형
-
- 공연소식
- 서울
-
[국악공연] 2월 2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소리꾼 김율희 '완창판소리 강산제 심청가'
-
-
국립민속국악원, 2023 판소리마당 소리판 꿈나무 무대 개최 (2월 4일, 11일, 18일 토요일)
- □ 국립민속국악원(원장 왕기석)은 2월 4일, 11일, 18일 토요일 2시, 안숙선명창의여정 내 국악체험실에서 2023 판소리마당 <소리 판-꿈나무무대>를 개최한다. <소리판- 꿈나무무대>는 소리의 본 고장인 남원에서 전통 소리꾼 인재 발굴 및 판소리 저변확대에 기여하고자 2021년부터 지속적으로 개최하는 기획공연이다. https://namwon.gugak.go.kr (국립민속국악원 홈페이지)□ 판소리마당 <소리 판-꿈나무무대>는 지난해 12월 공모를 통해 초,중고등학생 소리꾼 9명을 선발했다.□ 2월 4일 홍가연(중1/흥보가), 전서은(초5/적벽가), 조찬주(고2/춘향가)의 무대를 시작으로 11일은 김상아(중2/흥보가), 권규리(초4/흥보가), 조영종(중3/춘향가)이, 18일은 박혜인(고1/심청가), 서예지(초4/춘향가), 남규민(중2/흥보가)이 출연한다.□ 자세한 사항은 국립민속국악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전화(063-620-2329) 또는 국립민속국악원 카카오톡 채널(상담원과 대화)을 통해 예약할 수 있다.
-
- 공연소식
- 광주,전라
-
국립민속국악원, 2023 판소리마당 소리판 꿈나무 무대 개최 (2월 4일, 11일, 18일 토요일)
-
-
1월 6일 대전예술의전당 - 젊은 소리꾼 '김용우', 국악계의 디바 '박애리'의 신년음악회
- 1. 공연명 : 젊은 소리꾼 김용우, 국악계의 디바 박애리의 신년음악회2. 장소 : 대전 만년동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3년 1월 6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R석100,000원 / S석70,000원 / A석30,000원6. 문의 : 1577-2265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김용우 프로필 , ▶ 박애리 프로필
-
- 공연소식
- 대전,충청
-
1월 6일 대전예술의전당 - 젊은 소리꾼 '김용우', 국악계의 디바 '박애리'의 신년음악회
-
-
12월 21일~23일 민속극장 풍류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
- 1. 공연명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2. 일시 : 2022. 12. 21.(수)~23.(금)3. 시간 : 19:304. 장소 : 서울 민속극장풍류 ▶ 지도보기5. 가격 : 전석 10,000원6. 신청 : 네이버 예약(검색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https://booking.naver.com/booking/12/bizes/598814/items/47622567. 주최 : 한국문화재재단8. 예약문의 : 02-3011-17289. 공연소개○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 신영희의 소리 인생 이야기를 스토리가 있는 드라마 내용으로 구성한 공연○ 소리꾼으로 살아온 70년 세월의 고된 여정과 삶을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에 이미지화하여 표현 <프로그램>○ 봄(어린 신영희) : 어린 신영희에 대한 아버지의 사랑 이야기- 판소리 곡 : 흥보가- 출연 : 변서영, 신영희○ 여름(젊은 신영희) :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의 집안의 가장 역할과 결혼 후 남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변하지 않는 판소리에 대한 열정 이야기- 판소리 곡 : 심청가- 출연 : 신시온, 신영희○ 가을(중년 신영희) : 성공한 후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판소리 곡 : 심청가- 출연 : 김백송, 변서영○ 겨울 그리고봄(현재 신영희) : 세월이 무상하지만 변하지 않는 판소리에 대한 열정- 판소리 곡 : 흥타령, 춘향가- 출연 : 변서영, 신시온, 김백송, 신영희<출연진>○ 신영희(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 김백송(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이수자)○ 김장호(전 국립극단 단원, 연극 이층의 비밀)○ 신시온(뮤지컬 넌센스, 로미오와 줄리엣, 연극 보잉보잉)○ 변서영(제18회 사천 수궁가 전국 판소리 고법 경연대회 초등부 대상)
-
- 공연소식
- 서울
-
12월 21일~23일 민속극장 풍류 - The story 인간문화재 '신영희'
-
-
[무료초대] 12월 22일 대가야문화누리 우륵홀 -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 제7회 정기공연 (소리꾼 유태평양, 가수 정미애 등 출연)
- 1. 공연명 :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 제7회 정기공연 2. 장소 : 경북 고령군 대가야문화누리 우륵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2월 22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054-950-63137. 공연정보 더보기 ▶ 고령군 문화누리◆ 출연진 : 음악감독 강미선, ▶ 유태평양 프로필 , 장유경, 정미애
-
- 공연소식
- 대구,경북
-
[무료초대] 12월 22일 대가야문화누리 우륵홀 - 고령군립가야금연주단 제7회 정기공연 (소리꾼 유태평양, 가수 정미애 등 출연)
-
-
12월 1일~1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2022 국악대학전 '내일의 예인'
- 서울남산국악당과 정가악회의 공동기획으로 선보이는<2022국악대학전>이 10월 31일(월)~11월 2일(수)에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진행되었다. 국악대학전은 2014년 ‘예인, 한옥에 들다’를 전신으로 하여, 2017년부터는 ‘가곡’, ‘판소리’, ‘산조’ 분야로 장르를 확장하여 현재까지 6년째 이어져오고 있는 국악분야 대표적 예술축제이다. 국악대학전은 전국의 국악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별 대표 소리꾼, 산조연주자, 가단을 선정하고 멘토링 및 다양한 워크숍 프로그램으로 학생들에게 예술가로 성장할 기회를 제공한다. 단순히 경쟁만으로 과열되는 것이 아닌, 출연자 모두가 함께 성장하고 발전된 모습을 선보임으로써 ‘건강한 축제의 장’을 마련한다.올해 국악대학전은 지난 7월 참가자 모집을 시작으로 7월 31일부터 8월 14일까지 유튜브를 통해 전문평가단의 평가와 관객의 투표로 이루어지는 <1차 동영상 무대>와, 8월 30일부터 31일까지 멘토가 직접 선정에 참여하는 <2차 대면 무대>를 통해 ‘가곡대학전’ 3팀, ‘판소리대학전’ 5팀, ‘산조대학전’ 10명의 출연자들을 선발하였다. 이후 9~10월 중 개별 멘토링과 10월 7일~10일 3박 4일간 필봉문화예술촌에서 열린 <정가악회 음악학교> 프로그램을 통한 합숙형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대망의 <2022 국악대학전 본 무대>에서 당일 관객투표와 심사위원 평가를 통해, 장르별 ‘내일의 예인’과 ‘음원 특전’을 선정하며, 선발된 출연자에게는 ‘멘토와 함께하는 개인 독주회’와 ‘온라인 음원 발매’ 특전이 주어졌다.국악대학전은 지금까지 관객과 함께하는 ‘축제’의 형태로 진행해왔다. 특히 본 공연에서 관객들의 현장 투표로 내일의 예인과 음원 특전을 선정하는 방식은 이슈가 되기도 했다. 본 공연 또한 라이브 생중계로도 동시에 진행하며 관객의 투표를 온라인으로 받아 관객들과의 새로운 소통방식의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한다. 라이브 생중계는 정가악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송출되었다.공연당일 결과를 통해 2022국악대학전 특전 선정자가 선발 되었다.내일의 예인에 선정된 특전자들은 12월1일~16일 19:30에 ▶ 서울돈화문국악당 에서 만날 수 있다. 산조대학전 내일의 예인 박수빈(서울대), 오대주(한예종), 이지수(서울대), 정혜원(한예종),온라인 음원 민지원(한양대), 박수빈(서울대), 원혜정(서울대), 이우현(한양대)
-
- 공연소식
- 서울
-
12월 1일~16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2022 국악대학전 '내일의 예인'
-
-
아리랑 창작 100년…명창들을 회고한다 - 11월 12일 민속극장 풍류서 ‘아리랑 명창뎐’
- 아리랑 창작 100년 동안 배출된 명창들을 회고하고 대표적인 아리랑을 감상하는 공연 ‘아리랑 명창뎐’이 오는 11월 12일(토)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민속극장 풍류에서 열린다. 2022 인류무형문화유산 보조사업 선정작으로 한국문화재재단이 후원하고 (사)서울소리보존회(이사장 남혜숙)가 주최하며 서울소리보존회와 신민요연구회가 주관하는 이번 공연은 일제강점기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활동하며 아리랑 창작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소개하며 그들이 남긴 아리랑을 재현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아리랑 전승에 기여한 인간문화재 최영숙 명창을 비롯해 아리랑 실연자연합회 정은하 명창, 서도소리 유춘랑 명창, 원로 소리꾼 유명순 명창 등이 출연해 공연에 의미를 더한다. 첫 번째 무대 ‘신화의 방’에서는 광복 이전 SP 시대를 살다간 아리랑 명창들과 그들이 남긴 아리랑을 만난다. 서도 명창 박월정이 남긴 ‘아리랑집’에 실린 ‘신조아리랑’, ‘진천방촌아리랑’, ‘긴아리롱’ 등은 서울소리보존회 예술단이 다듬이·물허벅 타악으로 재현한다. 신민요 가수였던 이화자의 ‘금강 아리랑’과 장일타홍의 ‘아리랑우지마라’는 서도소리 전공자인 이춘자 명창과 송영옥 명창이 아름답게 편곡해 선보인다. 특히 ‘금강아리랑’은 최정희 명무의 살풀이와 함께 선보인다. 첫 번째 무대의 엔딩은 ‘본조아리랑’ 이전에 가장 인기 있었던 ‘아롱타령’을 보존회 예술단이 흥겹게 표현한다. 두 번째 무대 ‘전설의 방’에서는 광복 후 SP 시대를 거쳐 LP 시대에 많이 활동한 아리랑 명창들과 그들이 남긴 아리랑을 만난다. ‘상주 아리랑’을 만든 김소희, ‘정선아리랑’을 만든 김옥심 등 명창들의 영상이 소개되는데, 김옥심에게 민요를 배운 인간문화재 최영숙 명창이 ‘정선아리랑’을, 중앙대에서 판소리를 전공하는 최보길 소리꾼이 ‘상주아리랑’을 각각 부른다. ‘해주 아리랑’은 천재 소녀 명창 안유빈 양의 소리로 듣는다. 오비취 명창이 만들었으나 잊혔다 김옥심 명창에 의해 다시 빛을 본 ‘제주 아리시리’는 유근순, 홍순옥 두 명창이 재현한다. 마지막 무대는 현재 왕성하게 활동하는 아리랑 소리꾼들이 무대를 꾸민다. 청년 소리꾼인 서도소리의 미래 김초아, 최보길, 안유빈에 이어 원로예술인 유명순, 남혜숙, 최영숙, 정은하, 유춘랑, 최정희, 유근순, 홍순옥 명창이 함께한다. 엔딩은 남혜숙 이사장이 제자들과 함께 아리랑으로 새롭게 각색한 서울 12잡가 ‘방물가’로 장식한다.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 잡가를 좀 더 쉽고 대중들이 따라부르기 쉽게 하겠다는 바람을 담아 각색했다. 남혜숙 이사장은 “전설적인 아리랑 명창들의 창작 정신을 이어받아 대중들로부터 외면받는 12잡가를 더욱 알릴 목적으로 아리랑으로 각색했다”고 소개하며 “아리랑 정신은 누구도 가지 않은 길에 도전장을 내는 것으로 생각하며, ‘아리랑 명창뎐’은 지난 1백년 동안 우리 소리의 발전을 위해 기꺼이 도전을 내던진 예술인들을 기리고 오마주하는 공연”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이날 공연은 최근 이태원 참사에 대한 애도 차원에서 규모를 대폭 축소해 사전 예약한 소수 관객만으로 진행한다. 공연 실황은 추후 유튜브를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할 예정이다. 공연 문의 (02)353-5525
-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
아리랑 창작 100년…명창들을 회고한다 - 11월 12일 민속극장 풍류서 ‘아리랑 명창뎐’
-
-
10월 29일 김천문화예술회관 - 국악인 남상일과 함께하는 '춘하추동 디톡스콘서트' (소리꾼 조용주, 가수 박구윤,최연화 출연)
- 1. 공연명 : 국악인 남상일과 함께하는 '춘하추동 디톡스콘서트' 2. 장소 : 경북 김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0월 29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3시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10,000원6. 문의 : 054-420-7824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 남상일 프로필 , ▶ 조용주 프로필 , 박구윤, 최연화
-
- 공연소식
- 대구,경북
-
10월 29일 김천문화예술회관 - 국악인 남상일과 함께하는 '춘하추동 디톡스콘서트' (소리꾼 조용주, 가수 박구윤,최연화 출연)
-
-
[무료초대] 10월 22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난시 경기6잡가 발표회 - 멕시코소리꾼 난시 카스트로 (NANCY LORENA CASTRO)
- 1. 공연명 : 난시 경기6잡가 발표회2. 장소 :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10월 22일 (토요일)4. 시간 : 오후 6시 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10-4949-43897. 공연정보 더보기 ▶ 서울돈화문국악당 (sdtt.or.kr)◆ 출연진 : 난시 카스트로, 김명준
-
- 공연소식
- 서울
-
[무료초대] 10월 22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난시 경기6잡가 발표회 - 멕시코소리꾼 난시 카스트로 (NANCY LORENA CASTRO)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
-
[KBS뉴스] ‘판소리 지루하다?’ 신세대 밴드가 풀어낸 춘향가
- 판소리 하면 왠지 어렵고 지루하게 느껴지시나요? 하지만 이 음악을 들으면 생각이 달라지실 것입니다. 신세대 퓨전 밴드가 전통 소리꾼들과 함께, 판소리 춘향가를 새로운 감각으로 풀어냈습니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KBS뉴스] ‘판소리 지루하다?’ 신세대 밴드가 풀어낸 춘향가
-
-
소우주X김나니 - 소리꾼 김나니 판소리 공연
- ▶김나니프로필 2015년 12월 4일, 문화공간 숨도 1층 극장 소우주 (신촌역 6번출구 or 대흥역 1번출구)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소우주X김나니 - 소리꾼 김나니 판소리 공연
-
-
[문화유산채널] 판소리와 K-POP, 시대를 관통하다
- ‘여러 사람이 모인 장소’인 ‘판’에서 ‘노래’인 ‘소리’를 한다는 뜻을 가진 판소리는 소리꾼 한 명, 북으로 장단반주를 하는 고수 한 명, 이를 듣는 청중이 엮어가는 음악이다. 조선 후기부터 우리나라에서 널리 사랑받은 음악이 판소리라면, 요즘 사랑받는 음악은 K-POP이다. K-POP은 한국의 대중가요를 통칭하는데, 이 가운데 아이돌 그룹의 음악들은 세계 젊은이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대중과 함께 호흡하고 소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두 장르는 소통의 문화, 대중문화라 할 수 있다. 내용에서도 당시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 의식 수준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대중문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또한 오래전부터 춤과 노래를 즐겨온 한민족의 흥을 잘 보여주는 문화라 할 것이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문화유산채널] 판소리와 K-POP, 시대를 관통하다
-
-
판소리 춘향가 中 춘향모 꾸짖는 대목 - 판소리신동 '김한별'
- 11살 소리꾼 김한별 양은 전남 보성을 넘어 전국적인 판소리 영재로 유명하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성악)
- 판소리.병창.창극
-
판소리 춘향가 中 춘향모 꾸짖는 대목 - 판소리신동 '김한별'
-
-
국악세계화 프로젝트 '청춘시나위' PR 동영상
- 라틴음악의 본고장 쿠바에 과감하게 도전장을 내민 겁없는 20대 국악청년들은 총 4명이다. 실력과 외모를 겸비한 20대 신세대 소리꾼 신진원(부산국립국악원), 늘상 투덜거리지만 상모돌리기를 비롯해 각종 연희무대를 꾸리는 만능재주꾼 김동규(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 재학), 곱상한 얼굴과 달리 거침없는 입담을 자랑하는 조예영(한국예술종합학교 연희과 졸업), 스무살 막내로 큰 덩치에 맞지 않게 가녀린 피리를 연주하는 섬세한 감성의 김기현(중앙대 한국음악과 재학)씨다. ▶ 신진원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악세계화 프로젝트 '청춘시나위' PR 동영상
-
-
"유럽 소리꾼 다 모여라"…제3회 유러피언 판소리 대회
- 한국 전통음악을 사랑하는 유럽인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유럽 소리꾼 다 모여라"…제3회 유러피언 판소리 대회
-
-
같거나 다르거나 [춘향가] 중 ' 새이별조' - 감성소리꾼 '놀애 박인혜'
- ▶박인혜 프로필 작창 소리/ 박인혜코러스/ 이다연 강나현 김보림타악/ 장재효 연출/ 임영욱조명/ 정대원 영상/ 오건영기획/ 김미지 2015 0909 보안여관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같거나 다르거나 [춘향가] 중 ' 새이별조' - 감성소리꾼 '놀애 박인혜'
-
-
판소리 모노드라마 비단치마 中 "곱기도 고운 삶" - 감성소리꾼 '놀애 박인혜'
- ▶ 박인혜 프로필 작창 출연/ 박인혜극작 연출/ 임영욱작곡/ 유찬미 박근혜
-
- 국악동영상
- 신국악
- 창작국악
-
판소리 모노드라마 비단치마 中 "곱기도 고운 삶" - 감성소리꾼 '놀애 박인혜'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
박심준 프로필 - 판소리
- ☆ 박심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전북대학교 한국음악학과 졸업 활동 경력 소리문화의전당 판소리 예술강사퓨전국악밴드 '차오름' 멤버2021 21세기 차오름판 전래동화 新 심청전2021 (재)완주문화재단 예술인창작지원사업자 선정 (완주9품 홍보 CM송) 수상 경력 2014 승달전국국악대제전 일반부 장려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7OggD_FIT7A [흥 많은 완주 소리꾼 – 박심준 인터뷰]https://youtu.be/XVR6GxR8GuE [호랑이 담배피던 시절에는 (차오름)]https://youtu.be/EDeRud_7YVg [모던국악프로젝트 차오름 - 청춘마이크] 기타 2020년 창단돼 국악의 장단을 기반으로 다채로운 장르적 융합을 통해 퓨전국악의 새로운 지평을 넓혀가고 있는 차오름밴드는 이유빈(대표/건반/작곡), 박심준(소리꾼), 주민종(드럼), 손준희(전통타악), 김수학(베이스)으로 이루어져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박심준 프로필 - 판소리
-
-
오서영 - 판소리
- ☆ 오서영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소월 임화영 선생 사사우석대 간호대학 졸업 활동 경력 2022년 4월 김세종제 춘향가 완창발표 수상 경력 2016년 제21회 완산전국국악대제전 신인부 대상 2016 제7회 장수논개전국판소리경연대회 신인부 대상2019년 제11회 청주직지전국국악대제전 판소리 부분 장원2020 제29회 땅끝해남전국국악경연대회 신인부 대상 2020 제25회 한밭국악전국대회 일반부 판소리 최우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hxlT_SIzOHc [천자뒷풀이 (소리 오서영,고수 조성문)] 기타 여섯 살 때 어머니의 권유로 임화영 명창에게 판소리를 배웠으나 사정으로 인해 중단했다.간호사로 일하며 다시 소리 공부에 매진하여 각종 경연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노력파 소리꾼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오서영 - 판소리
-
-
이한서 - 가야금병창, 판소리
- ☆ 이한서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가야금병창,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2017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 졸업 활동 경력 국립국악원 예술강사2021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너목보) 시즌8' 출연2021 JTBC '슈퍼밴드2' 출연퓨전밴드 '한다두' 보컬 수상 경력 2012 제9회 대한민국가야금병창대제전 대상2015 제15회 빛고을전국국악경연대회 대상2017 여성가족부 표창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45VhOSmgsc0 [너목보8 ‘퓨전밴드보컬’ 이한서]https://youtu.be/qtm_0Q-uMm8 [한다두 - 먹또먹가]https://www.youtube.com/c/HanseoSori [힙판소리꾼 '이한서' 유튜브채널] 기타 밴드 '한다두'는 고전음악의 독자적인 선법과 대중음악의 통속적인 선법을 매시업하여 다양한 시선으로 음악을 표현하는 하이브리드 밴드이다.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이한서 - 가야금병창, 판소리
-
-
김보라 (노래해보라) - 경기민요
- ☆ 김보라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음악과 성악(민요)전공 학사 활동 경력 국립극장 예술단 미르 단원 역임전통소리그룹 '절대가인' 동인미니앨범 '여기도 하나', '사랑도 매화' 발매 수상 경력 제21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부 민요 장원제37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민요 차하 21c 한국음악프로젝트 금상 (절대가인/떡먹고 엿먹고)제2회 부여백제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민요 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4C695GmtRx8 [푸른바다가 中 멸치잡는소리&술배소리 (절대가인-김보라,유성실,유현지)]https://youtu.be/o1D-M8rlLd0 [아리랑 연곡 (절대가인 - 김보라, 유성실, 유현지, 김희영)] 기타 전통소리그룹 절대가인은 판소리, 가야금병창, 경기민요 등의 여성 소리꾼으로 구성되어있는 단체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김보라 (노래해보라) - 경기민요
-
-
최인주 프로필 - 경기민요, 송서율창
- ☆ 최인주 프로필 (1961년 경남 진주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송서율창 수련과정ㅣ학력 유창, 고주랑 선생 사사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국문학 전문학사서울시무형문화재 제41호 송서율창 이수자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전수자 활동 경력 1995 부천복사골예술제 경축공연 제2회 국악사랑 ‘걸궁굿’ 출연2011 이희문컴퍼니 사제나눔프로젝트 [교학상장]출연 - 한국인의집(kouse)2014 서울아리랑페스티벌 출연 - 광화문 광장2014~2021 서울시무형문화재 제7호 '장안편사놀이' 창악부문 예술단장 현재 청개구리국악원 대표 (비영리 법인) 수상 경력 2018 제6회 문학산 경기12잡가 전국국악경연대회 종합대상 홈페이지ㅣSNS https://cafe.daum.net/CHOIINJU [청개구리국악원 다음카페]https://www.instagram.com/yesok3399 [인스타그램]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ZAib4IhQv_g [한오백년, 강원도아리랑]https://bit.ly/3AD9WrS [TV소리꾼 청개구리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국악인 측에서 직접 제공한 자료 또는 공개된 정보를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며, 공개된 정보를 수집, 정리한 것은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최인주 프로필 - 경기민요, 송서율창
-
-
강나현 - 판소리
- ☆ 강나현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창작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졸업 활동 경력 판소리공장 '바닥소리' 동인'닭들의 꿈, 날다', 정동극장 적벽, 같거나 다르거나 춘향가 등 다수 작품 출연 수상 경력 2017년 추담전국국악경연대회 일반부 종합대상 (국회의장상)2019년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동상 홈페이지ㅣSNS https://badaksori.wordpress.com [바닥소리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TKGxB44XMzE [국악뮤지컬 '닭들의 꿈, 날다' 독수리역 소리꾼 '강나현' 인터뷰]https://youtu.be/vQ412Tki57o [창작판소리 - 화성에서 초콜릿 축제가 벌어지다] 기타 바닥소리는 2002년 창단, 창작판소리와 그를 기반으로 한 소리극을 만들고 공연해온 단체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
강나현 - 판소리
-
-
안나 예이츠 - 판소리, 대학교수
- ☆ 안나 예이츠 (Anna Yates-Lu) 프로필 (1989년 독일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음악인류학, 대학교수 수련과정ㅣ학력 민혜성 선생에게 판소리 사사영국 스코틀랜드 세인트앤드루스대학교 (사회인류학전공) 졸업영국 런던대학교 아프리카·아시아연구원 (SOAS) 석사영국 런던대학교 아프리카 아시아 연구원 박사 (판소리에 관한 논문) 활동 경력 2018년 프랑스 엘리제궁(한·불 대통령 만찬)에서 프랑스소리꾼 로르마포(Laure Mafo)와 함께 판소리 공연현재 서울대학교 국악과 교수 수상 경력 2015년 프랑스에서 열린 유럽지역 판소리대회 'K-VOX Festival' 1등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98OwQSYOOL4 [흥보가 中 첫째박 타는 대목]https://youtu.be/wm8tYxLRdOM [판소리에 인생 바뀐 안나예이츠 서울대교수] 기타 독일인으로 영국에서 학창 시절을 보냈으며, 2020년 만31세의 나이에 서울대 국악과 최연소 조교수로 임용됐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안나 예이츠 - 판소리, 대학교수
-
-
방글 - 민요
- ☆ 방글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경기민요, 선소리산타령 수련과정ㅣ학력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음악극과 졸업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학 석사, 음악이론학과 박사과정국가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산타령 이수자 활동 경력 성남국악협회 경기민요 분과장 수상 경력 경기국악제 학생부문 은상제1회 전국경기민요경창대회 학생부 은상제2회 구리전국민요경창대회 학생부 금상제11회 달구벌 전국청소년국악경연대회 고등부 우수상2019 제31회 경기예술대상 신진예술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8aeqxrVHcu4 [소리꾼 부녀 명창 방영기&방글 씨의 풍년가 / 군밤타령]https://youtu.be/faJ8avJRQUc [민요앙상블 나나니 - 방글, 박수영] 기타 ▶ 방영기 선소리산타령 전수교육조교의 딸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
방글 - 민요
-
-
안애란 프로필 - 판소리 (전남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 ☆ 안애란 프로필 (1943년 전남 나주 출생, 본명 안부덕)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장월중선, 정응민, 성우향 선생 사사전라남도 무형문화재 제29-2호 동편제 판소리 춘향가 예능보유자 활동 경력 목포시립국악원 판소리 교수 역임안애란판소리전수소 (전남 목포시) 대표 수상 경력 1994년 전국판소리명창경연대회 대상 (대통령상)2021년 국무총리 표창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7FpLGb_LtIM [안애란 명창의 옛날 판소리 이야기]https://youtu.be/tpstGpZZjEg [판소리 명창 안애란 회고담] 기타 요절한 비련의 명창 '안향련'과 사촌이다. 오정해, 박애리, 현미, 정승희, 이연정 등 수많은 소리꾼들을 가르쳤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
안애란 프로필 - 판소리 (전남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
-
이선숙 - 판소리
- ☆ 이선숙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판소리 수련과정ㅣ학력 서울대학교 음악대학원 석사 졸업 활동 경력 대구국악협회 창작분과위원장 역임부산예술대 한국음악과 외래교수(사)한국전통예술진흥회 울산지부장이선숙판소리연구소 대표 수상 경력 1985 제39회 진주개천예술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최우수상1989 여수진남제전국명창대회 장원1995 제2회 전국국악대제전 명창부분 장원2000 제11회 대구국악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종합대상 (국무총리상)2000 울산시 신지식인 여성상 수상 2006 제6회 명창박록주기념국악대제전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7UsWsG1ce0A [사철가 (고수 진정남)]https://youtu.be/8gL1S9wEoIQ [울주예술인, 이선숙 소리꾼] 기타 울산의 국악인으로 자신의 세계를 굳건히 지켜가고 있으며, ‘이선숙 판소리연구소’에서 제자들을 양성하며 소리의 일가를 이루어 가고 있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 국악인프로필
-
이선숙 - 판소리
관련사이트 검색결과
-
-
소리꾼 장서윤 홈페이지
- 판소리, 가야금병창, 철현금 연주 등 다재 다능한 소리꾼 장서윤 홈페이지 https://www.seoyoonjang.com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소리꾼 장서윤 홈페이지
-
-
소리꾼 김재은 페이스북
- 부산대학교 국악학과 졸업, 2017년 Mnet 너의 목소리가 보여 (너목보4) 출연자 https://www.facebook.com/jeaeunS2
-
- 관련사이트
- 기타
-
소리꾼 김재은 페이스북
-
-
소리꾼 정하린 (정은경) - 네이버 블로그
- 세종국악관현악단 소리단원 https://blog.naver.com/so_ri_kkun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소리꾼 정하린 (정은경) - 네이버 블로그
-
-
국악가수 권미희
- 판소리, 찬불가요, 국악가요 소리꾼 http://twitter.com/koreamihee
-
- 관련사이트
- 기타
-
국악가수 권미희
-
-
소리꾼 서진실 트위터
- 판소리, 창극, 퓨전국악 보컬, 월드뮤직밴드 억스[AUX] 멤버 http://twitter.com/jinsil005
-
- 관련사이트
- 기타
-
소리꾼 서진실 트위터
-
-
소리꾼 이성현 다음 카페
- 국창 조상현 선생의 제자로 7세에 흥보가 완창한 이성현 공연 동영상,공연소식 http://cafe.daum.net/gukaksor
-
- 관련사이트
- 기타
-
소리꾼 이성현 다음 카페
-
-
이희문 경기소리프로젝트
- 젊은 경기소리꾼 이희문의 다음 팬카페 http://cafe.daum.net/leeheemoon
-
- 관련사이트
- 기타
-
이희문 경기소리프로젝트
-
-
영남의 소리꾼 박성희 팬카페
- 판소리공연과 국악가요 등 일반적 자료들을 함께 공유하는 팬카페 http://cafe.daum.net/parkseonghee
-
- 관련사이트
- 기타
-
영남의 소리꾼 박성희 팬카페
-
-
경기소리꾼 이금미
- 경기소리꾼 이금미명창의 프로필, 공연사진, 경기소리 감상, 동영상 등 수록 http://www.이금미.kr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경기소리꾼 이금미
-
-
박인혜
- 소리꾼 놀애 박인혜의 네이버 블로그, 공연정보, 일상이야기 등 수록 http://nohlae.com
-
- 관련사이트
- 국악인(팀)
-
박인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