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09(토)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국악정보 검색결과

  • 이것이 바로 서울아리랑···‘실사구시 서울의 아리랑, 유명옥 발표회' - 9월7일 송파여성문화회관
    ‘실사구시 서울의 아리랑, 유명옥 발표회’가 9월 7일 오후 7시 서울 송파여성문화회관에서 펼쳐진다. 서울을 기반으로 형성된 전통·재현·창작 아리랑을 선보인다. ▶ 송파여성문화회관 지도보기 긴아리랑 좌창으로 무대를 연다. 구아리랑, 한오백년, 강원도아리랑, 김옥심제 정선아리랑, 영화주제가 아리랑, 서울아리랑, 아미일영 아리랑(명성황후 아리랑), 연평도 난봉가, 한글보급가 아리랑, 종두가 아리랑, 토키 아리랑, 아리랑 체조가 이어진다. 서울아리랑보존회 이사장인 유명옥(61)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는 서울아리랑”이라고 본다. 사설(辭說)에 근거, 각 아리랑의 정체성을 이날 무대에서 규정한다. 긴아리랑은 수련의 노래, 구아리랑은 아리랑의 모태, 한오백년은 우울증 치유곡, 김옥심제정선아리랑은 랩, 강원도아리랑은 최초의 지명 아리랑, 영화아리랑은 감동치유곡, 아무르아리랑(안중근아리랑)은 평화주의···. 전통음악의 치유효과를 분석한 ‘아리랑선무가 인체의 생리대사에 미치는 영향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국악인답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7-09-04
  • 팔도아리랑, 8월 15일 대구서 울려퍼지네…제11회 대구 전국아리랑경창대회
    전국 각지의 아리랑을 만나 볼 수 있는‘ 제11회 대구 전국아리랑경창대회’가 8월 15일(화) 오전 9시30분 아양아트센터 아양홀에서 열린다. 영남민요아리랑보존회가 주최하는 이 행사에서 참가자들은 우리나라의 여러 아리랑 중 1곡을 자유곡(5분 이내)으로 하고 ‘대구 아리랑’은 지정곡으로 불러야 한다. 2003년 세계유니버시아드대회 기념으로 탄생된 ‘대구아리랑축제’ 는 광복절을 되새기기 위해 매년 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식전행사로 영남민요아리랑보존회 정은하 외 4명이 대구아리랑, 대구아리랑보존회원 이상헌 외 7인의 광복군아리랑`독립군아리랑, 제주아리랑보존회 강복선`김진의 제주아리랑, 강원무형문화재 김길자가 정선 긴아리랑`자진아리랑, 전남 무형문화재 34호 강송대의 진도 아리랑, 중요무형문화재 57호 전수조교 이호연의 경기 긴아리랑, 영남민요아리랑보존회 동구지부 오은비 외 5인의 경상도아리랑, 영천아리랑보존회장 전은석 외 16인의 영천 아리랑, 영남민요아리랑보존회 성주군지부 임옥자 외 7인이 성주 아리랑이 펼쳐진다. 이 외 곽동현과 슈퍼밴드가 창작 아리랑`경성아리랑을 열창하고 대구시립극단 박상희 씨가 변사로 나서 무대를 재미있게 이끌어 간다. ▶ 해당기사 더보기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7-08-02
  • 긴아리랑 - 황선남
    조성하 영상작품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동영상
    2016-05-24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4월 2일 (土) 낮 12시10분 (최경만,전영랑,이나래,여정록,오경희 등)
    이번 주 국악한마당에서는 국립국악원 무용단의 아름다운 <미인도>를 시작으로, 잡가, 정가, 판소리를 재구성한 개성있는 세 여자의 노래와 최경만 명인의 제자와 함께하는 연주까지... 토요일 오후 12시 10분 국악한마당과 함께 하세요! ● 양선희 안무 <미인도> 무용/ 국립국악원 무용단 4명 (박민지, 백미진, 이하경, 조은주) ● 박한규 편곡, 전영랑 구성 <소춘향가> 노래/ 전영랑 피아노/ 박한규 피리, 생황/ 전성우 장구/ 이혜미 타악/ 서지선 ● <모음곡 소녀 中 꽃신> 노래, 토이피아노/ 안정아 거문고/ 엄세형 ● 이나래 구성 <내릴 수도, 들어갈 수도...> 소리/ 이나래 장구, 전자패드/ 김인수 ● 피리 독주 <긴아리랑> 피리/ 최경만 ● 최경만 구성 <대풍류> 피리/ 최경만, 이윤아, 오노을, 장수호, 최광일 장구/ 김민우 ● <소고놀이> 소고/ 여정록 꽹과리/ 박정회 장구/ 김영은 북/ 오원석 징/ 김영찬 ● 홍수미 편곡 <아리랑> 가야금/ 오경희, 이건호, 이진호 25현가야금/ 김태은, 송은미, 이지희 장구/ 주선우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6-03-29
  • 아리랑의 이론과 실제인 여성 3인 '유명옥·윤은화·기미양', 큰일해냈다…'실사구시 서울아리랑'
    아리랑의 이론과 실제인 여성 3인이 아리랑 발전을 위해 뭉쳤다. 유명옥 남북아리랑교류협의회 공동회장 겸 서울아리랑보존회 회장, 양금연주자인 윤은화 연변대 초빙교수, 기미양 아리랑학회 이사가 주인공들이다. 1896년부터 1945년까지 서울에서 불려진 아리랑을 모은 음반 '실사구시(實事求是) 서울아리랑' 녹음을 마쳤다. 유명옥 소리, 윤은화 작곡·편곡·연주, 기미양 구성·해설이 3위1체를 이뤘다. H B 헐버트가 아리랑을 채보한 지 130년, 나운규 감독의 영화 '아리랑'(1926) 개봉 90주년을 맞이한 2016년을 기념하는 역작이다. 지난달 북한의 아리랑협회 결성에 화답하는 의미도 담았다. 전승아리랑으로는 서울긴아리랑, 본조아리랑(북한식 편곡), 본조아리랑(합창), 구아리랑, 정선아리랑(김옥심제) 등을 선곡했다. 또 1896년 H B 헐버트 채보 아리랑, 영화 '아리랑' 주제가 아리랑, 영화 '아리랑' 3편 주제가, 문자보급아리랑, 종두선전아리랑은 재현했다. 아미일영아리랑(명성황후 추모), 아무르아리랑(안중근 추모), 옥중아리랑을 창작한 점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는 평가다. 해당기사 더보기 ☞ http://me2.do/53khfXzD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6-03-03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10월 31일 (土) 낮 12시10분 (전영랑,양길순,박연하,강유경 등)
    이번 주 국악한마당에서는 악가무의 전통 예술을 모두 만나볼 수 있습니다. 산조, 시나위, 민요 등 민속음악에 뿌리를 둔 음악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민속악회 수리’의 연주와 2015년 경기국악제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한 전영랑 씨의 민요, 그리고 중요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전수교육조교인 양길순 명무의 무대까지. 다채로운 우리 음악이 있는 국악한마당과 함께하세요. ● 가야금병창 <애수의 가을밤, 풍년경사> 가야금병창/ 박연하, 김해람, 이가영 장구/ 전계열 ● 민요 <한오백년, 강원도아리랑> 노래/ 전영랑 반주/ 민속악회 수리 ● <이생강류 대금산조> 대금/ 김시원 (경기 평택 내기초6) 장구/ 전계열 ● <민요연곡> (긴아리랑-노랫가락-창부타령) 노래, 연주/ 민속악회 수리 ● <산조합주> 연주/ 민속악회 수리 ● <도살풀이춤> 무용/ 양길순 ● <입춤> 무용/ 양길순 ● 박경훈 작곡 <금명> 거문고/ 강유경 노래, 낭송/ 김영근 생황/ 김효영 가야금/ 허윤정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5-10-29
  • [KBS 국악한마당 방송안내] 9월 19일 (土) 낮 12시10분 (이춘희,앵비,주정현,김도은 등)
    전통악기 가얏고를 만들고, 가야금을 위한 열두 곡을 지은 걸로 알려진 악성 우륵 이번 주 국악한마당은 경기민요 일색으로 꾸며집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보유자 이춘희 명창부터춤추듯 노래하며 비상하는 ‘앵비’와 미래의 명창을 꿈꾸는 어린이 소리꾼까지! 세대를 아우르는 경기민요의 매력에 빠져보세요! ● 민요 <방아타령(방아타령-사설방아타령-자진방아타령)> 노래/ 앵비 (채수현, 이미리, 김미림, 최주현, 성슬기) 반주/ 민속악회 수리 ● 잡가 <장기타령> 노래/ 앵비 4명 (이미리, 김미림, 최주연, 성슬기) 반주/ 민속악회 수리 ● 민요 <노랫가락> 노래/ 앵비 반주/ 민속악회 수리 ★ 꿈나무 한마당 ★● 민요 <경복궁타령> 노래/ 김도은 (서울 송전초 6) 반주/ 민속악회 수리 ● 주정현 구성 <산조합주> (2014 KBS국악대경연 수상자) 아쟁/ 성한여름 해금/ 주정현 피리/ 최소리 가야금/ 조소정 장구/ 유태상 ● 민요 <긴아리랑> 노래/ 이춘희 피리/ 최광일 장구/ 전계열 ● 민요 <창부타령> 노래/ 이춘희, 강효주 반주/ 민속악회 수리 ● 박소혜 편곡 <타령> 해금/ 조혜령 피아노/ 이수진 피아노/ 박소혜
    • 국악정보
    • 국악관련뉴스
    2015-09-17
  • 민족의 노래 아리랑,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에도 인기
    ▲ 수진본, 염낭본, 소형책자 가사집의 표지와 속표지/신나라레코드 소장자료 일제 강점기인 1930년대에 민족의 노래 아리랑이 어떻게 불리고 전파됐는지 실상을 보여주는 자료가 발굴됐다.1938년 4월 조선방송협회가 발행한 국악 가사집인 ‘가요집(歌謠集)’이다. 손바닥만 한 크기의 50쪽짜리 소책자에 그해 방송에서 주요하게 다룬 국악 22곡의 곡명과 가사가 실려 있다. 특히 아리랑 세 곡이 책 맨 앞부분에 수록돼 있어 당시 높은 인기를 보여준다. 자료를 찾아 조선비즈에 공개한 김기순 신나라레코드 회장은 “광복 70주년을 앞두고 민족의 노래인 아리랑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보여주는 기록”이라고 말했다. 아리랑의 역사를 오래 연구해온 김연갑 한민족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는 “아리랑이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된 시점에 의미 있는 자료”라고 평가했다. 김 이사는 “이 가요집에 수록된 목차를 보면 당시 방송에서 얼마나 인기를 끌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데, 특히 가장 앞순위에 아리랑 세 곡이 나란히 올라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고 했다. 그는 “오늘날 어려워 잘 부르지 않는 긴아리랑이 가장 먼저 실려 있고, 그 뒤가 밀양아리랑, 경기아리랑”이라며 “오늘날 인기도 많고 원류성으로 인정 받는 정선아리랑, 토속성을 높이 평가받는 진도아리랑은 아예 순위에 없다는 사실도 눈여겨볼 만하다"고 말했다. 문화재청은 지난 7월 14일 아리랑을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지정 예고했다. 아리랑은 2012년과 2014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됐다. 한민족을 대표하는 우리 민요 가락이지만, 정작 국내에선 무형문화재에 들어 있지 않았다. 문화재보호법에 따르면 중요무형문화재를 지정할 때에는 반드시 그 기능, 예능을 지닌 보유자(보유 단체)를 지정하게 돼 있는데, 아리랑은 특정 보유자를 지정하기가 어려웠다. 지난해 문화재청이 이 법을 바꾸면서 아리랑도 국가지정 무형문화재로 인정받을 길이 열린 것. 문화제 신규 종목 지정 예고 기간은 30일 이상이며,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달 중 최종 지정 여부가 결정된다. 해당기사 더보기 ☞ http://me2.do/F6wJPreg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5-08-16
  • 유명옥 서울아리랑보존회장, 제10회 대한민국전통예술경연대회 1위…종합대상 수상
    유명옥 회장(사단법인 서울아리랑보존회)이 제10회 대한민국 전통예술 경연대회에서 종합대상(국회의장상)을 받았다. 전체 14개 부문 가운데 최고상이다. 유 회장은 ‘긴아리랑’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1914년 이상준의 ‘조선속곡집’에 처음 등장하는 서울지역 아리랑의 하나다. 음역의 폭이 넓고 저음영역이 길어 전문 성악인이 아니면 구사하기가 어려운 ‘아리랑 중의 아리랑’으로 통한다. 유 회장은 “특히 서울아리랑 보존과 전수를 전문으로 하는 법인을 서울시로부터 받은 직후여서 매우 기쁘다”고 전했다. 해당 기사 더보기 ☞ http://me2.do/5U81TzDZ
    • 국악정보
    • 국악인소식
    2015-07-27
  • ‘본조’란 무엇인가, 아리랑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예고에 부쳐
    ▲사단법인 한겨레아리랑연합회 김연갑 상임이사 문화재청이 민요 ‘아리랑’을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겠다고 예고했다. 30일간 공고 후 국가무형문화재 제○○○호로 지정하게 되는데, 이대로라면 모든 아리랑을 포괄 지정한 것이 된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도 마찬가지다) 이 ‘포괄 지정’이란 표현은 전통적인 토속민요 아리랑(강원·경상 지역 중심의 아라리계)뿐만 아니라 근대에 형성된 통속민요 아리랑(1926년 영화 ‘아리랑’ 주제가 등)까지 포함한다는 것이 된다. 이는 원형성과 계보가 중시되었던 기존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지정과는 다른 것이다. 그런데 포괄적 표현으로서의 ‘아리랑’과 같이 아무 수식 없이 ‘아리랑’으로 불리는 것이 있다. 아마 많은 이들과 특히 외국인들은 이해가 쉽지 않을 것인데, 이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다. 과연 아무 수식 없이 너도 나도, 해외동포도, 외국인도 알고 부르는 그 아리랑, 그냥 ‘아리랑’이라고 불리는 것은 어떤 아리랑인가? ‘아리랑’은 일본의 ‘사쿠라’(-サクラ·Sakura), 중국의 ‘모리화’(茉莉花·Jasmine Flower) 보다 더 세계적인 노래이다. 아니, 미국의 ‘어메이징 그레이스’(The Amazing Grace)보다 더 세계적이어서 놀라운 노래이다. 곡의 간명성과 사설(후렴)의 다의성과 함께 1930년대 중국·일본·러시아·미국으로 살 길을 찾아 떠났던 동포들이 고국을 그리며 부른 결과이고 한국전쟁기 유엔 병사들의 참전 기념품이 된 결과이다. 이런 연유로 ‘아리랑’하면 일반적으로 통하는 것으로, 지명(정선아리랑)이나 출현 시기(구아리랑)나 장단(긴아리랑)에 의한 명칭이 아닌, 수식 없이 그냥 ‘아리랑’으로 부르는 것이 대표성을 얻었다. 이 아리랑은 1926년 10월1일 서울 종로의 유명한 극장 단성사에서 개봉된 영화‘아리랑’의 주제가이다. 감독 나운규가 고향 회령에서 들었던 기억을 살려 사설을 구성(전승사설과 후렴을 조합)했고, 단성사 전속 감독·변사·작곡가인 김영환(1898~1936)이 편곡하여 가수 이정숙과 유경이가 부른 주제가이다. 이렇게 탄생한 주제가 아리랑은 영화 ‘아리랑’과 함께 1929년까지 이 땅의 벽촌 소학교 천막극장은 물론, 일본과 중국 동포사회에까지 돌아 크게 유행을 했다. 이 주제가 아리랑은 음반사의 전략으로 최고 명성의 채규엽이나 김연실 같은 이들의 음반 취입으로 1930년을 거치며 가장 유명한 노래가 되었다. 그래서 후편 영화 ‘아리랑 그 후 이야기’에서, 제3편 ‘말문 연 아리랑’까지, 박승희 원작 연극 ‘아리랑 고개’, 최승희 무용 ‘아리랑 조선’, 신불출 만담 ‘아리랑 반대편’, 라미라가극단 악극 ‘아리랑’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주제음악 또는 삽입곡으로 쓰였다. 그래서 이후 아리랑 담론의 주 화소는 바로 이 아리랑이 중심이 되기에 이르렀다. 연극 ‘아리랑고개’가 막을 올리는 상황에서도, 1930년대 암울함을 표현한 글에서도 그렇고, 1940년 나운규를 회고하는 글에서도 아리랑 전체를 대신하였다. 해당기사 더보기 ☞ http://me2.do/xETgykLW
    • 국악정보
    • 아리랑소식
    • 아리랑뉴스
    2015-07-22

공연소식 검색결과

  • 8월 26일 남원 사랑의광장에서 국립민속국악원 광복 70주년 특별공연
    많은 시간을 들여 만든 자료이오니, 퍼 가실때는 출처와 함께 링크를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공연명 : 광복 70주년 특별공연 및 8월 문화가 있는 날 <광복의 울림 속으로>2. 장소 : 전북 남원 사랑의 광장 야외무대3. 날짜 : 2015년 8월 26일 (수요일)4. 시간 : 오후 8시 5. 티켓료 : 무료초대6. 문의 : 063-620-23287. 공연정보 더보기 ▶ http://me2.do/xomKe7ZY 8. 프로그램 :1 창작판소리 “이준 열사가” 2모듬북 “박치” 3 창작판소리 “안중근 열사가” 4민요 “아리랑”-연곡 긴아리랑, 구아리랑, 정선아리랑, 강원도아리랑, 해주아리랑, 상주아리랑, 밀양아리랑, 진도아리랑 5창작판소리 “윤봉길 열사가” 6무용 “고고지락(鼓鼓至樂) 7 창작판소리 “유관순 열사가” 8 실내악-아름다운 나라, 우리가 원하는 우리나라, 남누리 북누리 ◆ 출연진 : 임교민, 김수영, 김혜정, 김대일, 황갑도, 소원검, 황상현, 서은기, 정상현, 박수영 등
    • 공연소식
    • 광주,전라
    2015-08-18
  • 6월 20일 극립극장에서 원나경 해금연주회 '노래가락'
    ▶ 원나경 프로필 해금 연주자 원나경(25)이 20일 오후 7시30분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별오름극장에서 해금 연주회 '노래가락'을 펼친다. ▶공연장 지도보기긴아리랑, 노랫가락, 육자배기, 흥타령, 소춘향가, 선유가, 화초사거리 등 경기잡가와 남도잡가의 가사를 간추려 해금 연주곡으로 재해석한다10,000원 (현장판매) 공연 기사 더보기 ☞ http://me2.do/FKJd602F
    • 공연소식
    • 서울
    2013-06-18

국악동영상 검색결과

국악인프로필 검색결과

  • 김빛여울 프로필 - 경기민요
    ☆ 김빛여울 (금빛여울)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김혜란 선생 사사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석사과정 수료 활동 경력 사)우리음악연구회 회원 수상 경력 2014 제34회 온나라국악경연대회 민요부문 금상 2016 제4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대상 2017 제43회 전주대사습놀이 전국대회 명창부 민요부문 장원 2022 제23회 상주전국민요경창대회 명창부 대상 (대통령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vSM8JT4A6TE [유산가] https://youtu.be/GC3oFP2J1uE [긴아리랑, 노랫가락]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8-03-05
  • 박규희 프로필 - 경기민요
    ☆ 박규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 故 이순희 선생 사사 국립국악학교 졸업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중앙대학교 전통예술학부 졸업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재학 활동 경력 초등학교 6학년때 5시간에 걸쳐 12좌창(잡가) 완창 발표회를 가졌다. 수상 경력 2011 제18회 달구벌전국청소년국악경연대회 중고등부 종합대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11 제10회 복사골국악대제전 전국국악경연대회 학생부 종합대상 (교육과학기술부장관상) 2013 제24회 전국학생국악경연대회 민요 최우수상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 2013 제31회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 민요부 장원 2022 제8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명창부 대상 (국회의장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afrake0zBd8 [긴아리랑 - 2013 전주대사습놀이 학생전국대회] https://bit.ly/3iH4JIW [소리꾼 박규희 유튜브채널]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2016-03-01
  • 박자영 - 해금연주가
    ☆ 박자영 프로필 (1983년생) 사진 전공ㅣ분야 해금연주 수련과정ㅣ학력 길미애, 황영자, 황애자, 안재숙, 안희봉, 이동훈, 김정림, 조운조 선생 사사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졸업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음악학과 졸업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한국음악학과 박사 과정 활동 경력 경상북도립국악단 해금 수석 수상 경력 2005년 담양대나무악기경연대회 해금부문 동상2006년 온나라국악경연대회 해금부문 금상2006년 지영희전국국악경연대회 기악부문 대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9vgfVgaXxVg [서연가]https://youtu.be/wRxYgactdtw [긴아리랑]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라,마,바
    2015-11-24
  • 김세윤 - 경기민요
    ☆ 김세윤 프로필 1987년생 (경기)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김광숙, 이춘희, 임정란 선생 사사 한양대학교 국악과 및 동 대학원 졸업 경기도무형문화재 제31호 경기소리 이수자 활동 경력 국립부산국악원 성악단 단원 역임 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단원 수상 경력 2008년 제4회 세종음악콩쿠르 전통음악 우수상 2010년 제30회 온나라전국국악경연대회 금상 2010년 제20회 KBS국악대경연 민요부문 장원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https://youtu.be/pFPvgdaPZtY [긴아리랑,노랫가락]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가,나,다
    2013-02-14
  • 이승희 - 해금연주가, 대학교수
    ☆ 이승희 프로필 사진 전공ㅣ분야 해금연주, 대학교수 수련과정ㅣ학력 강사준, 김영재, 양경숙, 정수년, 강은일 선생 사사 국립국악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졸업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예술전문사 졸업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음악박사 활동 경력 (사) 정가악회 단원 역임 서울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단국대학교 강사 역임 현재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전공 교수 한국정악원 이사 해금앙상블 '셋닮' 동인 수상 경력 1998년 동아국악콩쿠르 학생부 금상  2001년 동아국악콩쿠르 일반부 금상 2009년 KBS국악대상 (단체 부문 정가악회) 2009년 제3회 제주세계델픽대회 1~2현악기부분 은메달 2022년 제6회 사야국악상 수상 홈페이지ㅣSNS 동영상 보기 ▶ http://youtu.be/TaQLi_jAIi0 [긴아리랑] ▶ http://youtu.be/YRNS7DhqRkQ [팔도유람가]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3-01-15
  • 故 이은주 - 경기민요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 故 이은주 프로필 (1922년 경기 양평 출생 ~ 2020년 11월 2일, 본명 이윤란) 사진 전공ㅣ분야 경기민요 수련과정ㅣ학력 원경태, 이창배 선생 사사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1975년 7월 12일 지정) 활동 경력 이은주 경기창연구원 단국대학교 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강사 인간문화재진흥회 부회장 2002년 월드컵문화행사 공연 수상 경력 1950년 단성사국악대회 1등 수상 1964년 제4회 TBC방송 명인명창대회 대상 1991년 KBS국악대상 특별상 1993년 옥관문화훈장 2006년 조선일보사 방일영국악상 수상 2010년 한민족문화예술대상 민요부문 수상 음반 1990년 '이은주1집', 2006년 '경기명창 이은주의 소리연' 2007년 '이은주 십이잡가', '천전의 소리' 동영상 보기 ▶http://youtu.be/2LD2Kx7M-IE [긴아리랑] 기타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3-01-14
  • 이춘희 프로필 - 경기민요 (국가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 이춘희 프로필 (1947년 서울 출생) 사진 전공ㅣ분야 민요 / 경기민요 수련과정 l 학력 이창배선생(1916-1983)이 운영했던 민간국악교육기관 '청구고전성악학원'에서 수학안비취 명창 사사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예능보유자 (1997년 지정) 활동 경력 2000년 (사)경기민요보존회 이사장 취임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역임 한국전통민요협회 이사장, 한국국악협회 이사 중앙대학교 국악교육대학원 객원교수 수상 경력 2000년 제32회 대한민국 문화예술대상 2004년 문화예술발전 유공자 '화관문화훈장'2007년 필리핀국립경찰사관학교 감사패2008년 서울특별시 문화상 (국악분야) 2014년 제21회 '방일영국악상' 홈페이지ㅣSNS ▶ http://www.koreansori.co.kr [한국전통민요협회 홈페이지] 동영상 보기 ▶ http://youtu.be/Y1fC6VQTA4g [이별가] ▶ https://youtu.be/mcg_xjfQTJU [긴아리랑, 구아리랑, 아리랑] 기타 경기민요의 교과서라 불리는 대표적인 여명창이다. ◆ 본 국악인 프로필은 공개된 내용을 수집, 정리한 것으로 잘못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내용 수정 및 사진 교체, 혹은 삭제를 원하시는 경우에 연락 주시면 즉시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국악인프로필
    • 사,아,자,차
    2012-09-01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