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기타
실시간
실시간 기타
-
-
광주MBC 제작, 다큐멘터리 - 故 박병천
- 진도 무속의 산증인이자 민속예술의 거장. 박병천 명인(1933~2007년 타계)의 발자취를 조명한 특집 다큐멘터리. 2007년 제작.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광주MBC 제작, 다큐멘터리 - 故 박병천
-
-
작곡으로 독립운동을 한 한형석 선생, 압록강 행진곡, 가극 아리랑, 광복군가집
- 한형석 (한유한) - 일제 강점기 부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음악가 (1910.2.21 ~ 1996.6.14)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작곡으로 독립운동을 한 한형석 선생, 압록강 행진곡, 가극 아리랑, 광복군가집
-
-
한국 무용의 꽃 -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 승무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양서윤 이수자가 출연하여 승무의 유래, 승무의 특징, 승무의 7과장에 대해서 직접 승무를 추며 설명한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한국 무용의 꽃 -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
-
-
국가무형문화재 제83-1호 '구례향제줄풍류' 소개 영상
- 향제줄풍류란 지방에서 전승되는 줄풍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거문고, 가야금, 대금, 피리, 해금, 장구가 기본이 되고 단소와 양금이 곁들어지기도 하는 작은 실내악 규모의 관현 편성을 이룬다. 구례향제줄풍류는 구례에 살던 김무규(1908~1994)의 음악을 중심으로 구성한 것으로 본풍류, 잔풍류, 뒷풍류로 짜여있다. 1985년 비교적 잘 유지되어 온 구례의 줄풍류를 국가무형문화재 제83호로 지정하였고 현재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어 있는 거문고의 김정애와 단소의 이철호를 비롯하여 여러 조교 및 전수생들이 구례지역에서 전승되어온 줄풍류 음악의 맥을 잇고 있다. 이 영상물에는 구례 향제줄풍류의 역사를 비롯하여 실연과정, 전승현황 등에 대한 내용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가무형문화재 제83-1호 '구례향제줄풍류' 소개 영상
-
-
국가무형문화재 제83-2호 '이리향제줄풍류' 소개 영상
- 이리향제줄풍류는 1985년 9월 1일에 중요무형문화재 제83-2호로 지정 되었으며 동시에 강낙승선생이 예능보유자로 인정되었다. 그후 1990년 10월 10일 이보한선생이 예능 보유자로 추가 인정되었다. 이리향제줄풍류보존회는 1987년 11월 11일 창립되어 현재 원형보존과 전승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현재 이리향제줄풍류의 곡 구성은 다음과 같다. 1.다스름 2. 본풍류(본영산-중영산) 3. 잔풍류(세영산-가락덜이-상현환입-하현환입) 4. 뒷풍류(계면환입-양청환입- 우조환입 - 풍류굿거리)등 15곡으로 되어 있다. 경제줄풍류는 이리향제줄풍류에 비해서 다스름, 세환입, 풍류굿거리가 없다. 장고의 장단에 있어서는 본·중영산에서 1장단이 20박으로 되어 있는데 이리향제줄풍류에서는 6.4.6.4박으로 구분되고 경제줄풍류에서는 6.4.4.6박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경제와 향제 줄 풍류는 각각 선율이 다소 다르고, 동일 곡일지라도 장수와 장단수에서도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악기편성은 거문고, 가야금, 양금, 세피리, 대금, 해금, 단소, 장고 등으로 편성되어 있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가무형문화재 제83-2호 '이리향제줄풍류' 소개 영상
-
-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기지시줄다리기' 소개 영상 (1987년 제작)
- 줄다리기는 농경의식의 하나인 일종의 편싸움 놀이로 길쌈이라고도 한다. 마을을 육지와 바닷가쪽 두 편으로 나누는데 생산의 의미에서 여성을 상징하는 바닷가 쪽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한다. 줄다리기는 윤년 음력 3월초에 재앙을 막고 풍년을 기원하는 당제를 지낸 다음 행해졌다. 전설에 의하면 충남 당진의 기지시 (機池市) 리는 풍수적으로 옥녀가 베짜는 형국이어서 베를 양쪽에서 잡아당기는 시늉을 한데서 줄다리기가 생겼다고도 하고, 지형이 지네형이라서 지네모양의 큰 줄을 만들어 줄다리기를 했다고도 전해진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기지시줄다리기' 소개 영상 (1987년 제작)
-
-
'풍어를 기원하나이다.' - 충남무형문화재 제54호
- 2017년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54호로 지정된 보령 외연도풍어당제는 매년 음력 2월 보름을 맞아 주민들의 풍어와 뱃길의 안전을 기원하는 전통행사이다.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풍어를 기원하나이다.' - 충남무형문화재 제54호
-
-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소개 영상 (1965년 제작)
- 내용설명 : 1.풍물(농악) 2.버나(대접돌리기) 3.살판(땅재주) 4.어름(줄타기) 5.덧보기(탈춤) 6.덜미(꼭두각시놀음)남사당놀이는 꼭두쇠(우두머리)를 비롯해 최소 40명에 이르는 남자들로 구성된 유랑연예인인 남사당패가 농·어촌을 돌며, 주로 서민층을 대상으로 조선 후기부터 1920년대까지 행했던 놀이이다. 남사당놀이는 서민사회에서 자연 발생한 민중놀이로, 양반들로부터 박대를 당해 마을에서 공연하는 것도 자유롭지 못했다. ▶ 자료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기타
- 다큐.강의.정보
-
국가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소개 영상 (1965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