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동영상Home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실시간
실시간 민속악(종합.무용)
-
-
[안성남사당풍물놀이 동영상] 안성 웃다리 채상 설장구 - 하현조
- ▶ 하현조 프로필 경기도무형문화재 제21호 안성 남사당풍물놀이 보유자였던 故 김기복 명인 (1929년~2015년) 을 거쳐 하현조를 통해 세상에 나온 안성 웃다리 설장구는 다채롭고 빠른 장단을 중심으로 남성적인 힘찬 움직임 속에 여성적인 아름다움과 능청거림이 돋보인다. 다양한 장단 속 여유와 부드러움이 담긴 춤사위와 채상 상모를 돌리는 모습은 마치 나비가 춤을 추는듯한 자태를 선보인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안성남사당풍물놀이 동영상] 안성 웃다리 채상 설장구 - 하현조
-
-
[줄타기영상] 광대줄타기 - 줄광대 아이돌 '남창동'
- 광대 남창동, 어릿광대 남해웅, 대금 이청준, 피리 김현승, 임송언, 해금 김세진, 장구 황정현 꽹과리,징 박찬영, 좌고 김주호, 뒷꾼 남상동, 신동섭 남창동은 8세에 인간문화재 김대균을 사사, 줄타기에 입문했으며 국가무형문화재 제58호 줄타기 이수자다. 아버지가 남해웅 국립창극단 창악부 단원이고 젊은 소리꾼 남상동이 형이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줄타기영상] 광대줄타기 - 줄광대 아이돌 '남창동'
-
-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 보유자 정명숙
- ▶ 정명숙 프로필 살풀이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해의 나쁜 운을 풀기 위해 벌였던 굿판에서 무당이 나뿐 기운을 풀기 위해 추는 즉흥적인 춤을 말하며, ‘도살풀이춤’ 또는 ‘허튼춤’이라고도 한다. 원래는 수건춤, 산조춤, 즉흥춤 이라는 이름의 수건춤이었으나 춤꾼 한성준이 1903년에 극장공연에서 살풀이란 말을 쓴 데서부터 살풀이라는 이름이 비롯되었다. ▶ 정보 더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국가무형문화재 제97호 살풀이춤 - 보유자 정명숙
-
-
평남무형문화재 제1호 평양검무 - 보유자 임영순
- 평양검무 1대 보유자 故이봉애 선생이 평양에서 14세 때 김학선이란 권번 예기한테 배운 춤으로 지금은 평양에서는 사라진 유일무이한 소중하고 원형이 잘 보존된 문화재 춤이다. 활달하고 동적이며 땅을 콕콕 찍는 춤사위와 발디딤에 뒷디딤을 많이 쓰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 임영순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평남무형문화재 제1호 평양검무 - 보유자 임영순
-
-
평남무형문화재 제4호 평남수건춤 - 보유자 한순서
- 남도시나위를 주로 사용하는 남한지역 살풀이춤과 달리 서도소리를 반주음악으로 사용하며 들발 등 북한지역의 춤사위가 구현된 수건춤이다. ▶ 한순서 프로필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한국무용.전통/창작
-
평남무형문화재 제4호 평남수건춤 - 보유자 한순서
-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 안동저전동농요
- 안동 저전동 농요는 농사 현장에서 전승되어온 일꾼의 농요로서 모찌기소리, 모심기소리, 애벌논매기소리, 두벌논매기소리, 물 푸는소리, 보리타작소리 등이 있습니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2호 - 안동저전동농요
-
-
국립부산국악원 화요명인 : 동해안별신굿 故 김정희 명인
- 동해안 화랭이 故김정희명인 - 국가무형문화재 제82-1호 동해안별신굿 전수교육조교 ** 화랭이는 세습무권에서 무악을 집안대대로 세습하는 남성악사를 말하며 예술적·연희적 성격이 강한 굿거리를 진행한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국립부산국악원 화요명인 : 동해안별신굿 故 김정희 명인
-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 - '영덕별신굿'
-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지역에서 행해지는 동해안별신굿의 한 종류로 음력 3월에 행해진다.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굿.무악.종교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 - '영덕별신굿'
-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6호 - '문경모전들소리' 전과정
- 문경시 모전동 일대에서 전승돼 온 노동요 (유희요)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6호 - '문경모전들소리' 전과정
-
-
속초북청사자놀음보존회 - 북청사자 등장
- 강원도 속초시 아바이마을 전통민속극 '속초사자놀이' - 2019년 강원도 무형문화재 지정 속초사자놀이 (舊名 : 속초북청사자놀이) 는 6·25 전쟁 당시 함경도 출신 피난민이 청호동 아바이마을에 집단거주하면서 전승된 전통민속극이다. 마을 공동체 발전을 위한 '걸립'과 '안택'의 의미를 강조한 '길놀이'가 특징이다. '벽사진경'(사귀를 쫓고 경사로운 일을 맞이)의 민속적 의미와 예능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다. ▶ 해당기사 보기
-
- 국악동영상
- 민속악(종합.무용)
- 놀이.종합
-
속초북청사자놀음보존회 - 북청사자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