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3-12-11(월)

공연소식
Home >  공연소식  >  서울

실시간

실시간 서울

  • 5월 20일~21일 서울남산국악당 - 김홍도의 화첩기행 '환상노정기' (그림 The林)
    1. 공연명 : 김홍도의 화첩기행 '환상노정기'2. 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5월 20일(금) ~5월 21일(토)4. 시간 : 금요일 오후 7시 30분 / 토요일 오후 3시5. 티켓료 : 전석 30,000원6. 문의 : 서울남산국악당 02-2261-0500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창작음악그룹 그림 (The林)그림(The林)의 ‘환상노정기’는 금강산 화첩기행을 떠난 김홍도의 여행담과 그 삶을 그려낸 작품이다. ‘환상노정기’에서는 한 시대를 풍미한 예술가로의 공인 김홍도뿐만 아니라, 한 사람의 아버지이기도 한 인간 김홍도의 개인적 삶 또한 입체적으로 조명하여 큰 감동을 전한다. 그림(The林)은 역사 속에서 잠들어 있던 김홍도의 그림과 이야기에 음악의 서사를 더하여 우리 앞에 새롭게 재현해낸다. 창작국악그룹 ‘그림(The林)’은 전통을 기반으로 자유로운 형식의 음악창작과 각 예술 장르의 특성들이 효과적으로 반영된 융복합 형태의 완성도 있는 무대작품 및 음원으로 제작, 발전시키고 있는 예술단체이다.
    • 공연소식
    • 서울
    2022-04-26
  • 5월 12일 정동1928 아트센터에서 이자람 첫 산문집 '오늘도 자람' 북콘서트
    1. 공연명 : 이자람 신간 '오늘도 자람' 북콘서트2. 장소 :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130, 정동1928 아트센터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5월 12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5. 티켓료 : 15,000원 6.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작가 ▶ 이자람 프로필, 고수 이준형, 사회 김하나 하루도 빼놓지 않는 소리 연습부터 한 끼 밥상을 차려 먹는 일까지 예술가 이자람의 사소한 일상을 담은 에세이 '오늘도자람' ★ 신간안내 ▶ 구매하기
    • 공연소식
    • 서울
    2022-04-21
  • 5월 13일~5월 14일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연희해체프로젝트Ⅰ '긴' (박세호, 이명모, 박수연, 손은교 출연)
    1. 공연명 : 연희해체프로젝트Ⅰ '긴' 2. 장소 : 서울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5월 13일(금) ~5월 14일(토)4. 시간 : 금요일 오후 7시 30분 / 토요일 오후 3시 5. 티켓료 : 전석 30,000원6. 문의 : 02-2261-0500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박세호(연희), 이명모(연희) 박수연(무용), 손은교(무용)
    • 공연소식
    • 서울
    2022-04-20
  • 대금명인 이생강·이광훈 父子 4월22일, 24일 연이어 발표회 개최
    최고의 대금 연주자로 인정받는 부자가 잇따라 대금 연주회를 마련해 눈길을 끌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예능보유자 이생강 명인이 4월 22일 저녁 7시 서울 강남구 민속극장 풍류에서 대금 발표회 ‘죽향’을 여는 데 이어 그의 아들 이광훈(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전승교육사) 명인도 4월 24일 오후 5시 서울 종로구 창덕궁 소극장에서 대금발표회를 갖는다. ▶ 이생강 프로필 ▶ 이광훈 프로필 먼저, 국가무형문화재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이 후원하는 2022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 행사 일환으로 열리는 공연 ‘죽향’에서 이생강 명인은 전통에 뿌리를 둔 대금산조의 정수를 선사한다. 대금산조는 우리 국악 중 기악 독주 음악의 하나로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온 남도소리의 시나위와 판소리의 방대한 가락을 장단에 실어 자유롭게 변화를 주어 연주하는 곡이다. 특히 이생강류 대금산조는 진양조,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엇모리, 동살푸리, 휘모리의 장단 변화로 구성된 국악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이생강 선생은 이번 공연에 대해 “삶 속에서 민속악을 향유하고 계승·발전해온 선조들의 뜻과 지혜를 보듬어 현재를 살아가는 후손에게 국악 속에 담긴 민족혼을 일깨워주고 싶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공연에는 이생강 명인을 중심으로 소고춤, 아쟁산조, 승무 등 명인 명무들이 무대에 선다. 또 이광훈, 이관웅, 이성준, 최명호, 홍석영, 이재영 등 후학들이 반주자로 나선다. 공연은 지역별 아리랑의 특징과 멋을 이생강 명인이 청아한 대금 소리로 표현한 ‘팔도강산 아리랑’으로 막을 연다. 이어 이광훈 외 이수자 및 전수자 19명이 ‘이생강류 대금산조 합주’를 선사한다. 이와 함께 한국 무용가 홍순이가 ‘권명화류 소고춤’으로 무대를 더욱 화려하게 수놓으며, 이관웅이 ‘김일구류 아쟁산조’를 선보인다. 특히 이생강 명인이 대금산조를 독주하는데 본연의 힘차고 빠르면서도 맑은 음색을 들려준다. 관객들로서는 무대 가까이에서 ‘이생강류 대금산조’의 참 멋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 무대는 한국무용가 박경랑의 ‘승무‘로 꾸며진다. 한편 이생강 명인의 아들이자 이생강류 대금산조 전승 후계자 이광훈(국가무형문화재 제45호 대금산조 전승 교육사)은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 한국문화재재단이 후원하는 2022년 국가무형문화재 전승자 주관 기획 행사 일환으로 그만의 다섯 번째 대금 연주회를 연다. 국악 명가의 자손이 시대를 뛰어넘어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타고난 재능을 어떻게 펼쳐 보이는지 확인해볼 수 있는 이번 공연은 이광훈을 중심으로 이생강류 대금산조, 아쟁산조, 피리산조 등을 중심으로 펼쳐진다. 이광훈 명인과 그의 아들 이범영의 민요 연곡을 시작으로, 김일구류 아쟁산조(이관웅), 이광훈 명인의 이생강류 대금산조, 박범훈류 피리산조(이재영), 이광훈 명인의 대금 연주 ‘동살푸리 장단의 흥겨운 우리 가락’으로 이어진다. 대금의 소리, 곧 산조의 원형을 올곧게 보존하려는 두 부자가 마련한 두 연주회는 웅장하고 청아한 대나무의 음률 속에 깃들어 있는 자연의 숨소리를 감상할 수 있는 흔치 않은 무대가 될 것이다. 관람은 무료이며 공연 영상은 추후 유튜브를 통해 공개된다. 공연 관련 자세한 내용은 죽향 대금산조 원형보존회(02-762-5244)로 문의하면 된다.
    • 공연소식
    • 서울
    2022-04-18
  • 5월 4일~8일 서울국립극장 - 국립창극단 창극 '춘향' (이소연,김준수,김우정,김수인,김차경,김금미,최호성,조유아,유태평양)
    1. 공연명 : 창극 '춘향'2. 장소 :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5월 4일(수요일) ~ 5월 8일(일요일) 4. 시간 : 총 5회 / 수,금 19시 30분, 목,토,일 15시 5. 티켓료 : VIP석 80,000원 / R석 60,000원 / S석 40,000원 / A석 20,000원6. 문의 : 02-2280-4114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이소연, 김준수, 김우정, 김수인, 김차경, 김금미, 최호성, 조유아, 유태평양 등
    • 공연소식
    • 서울
    2022-04-18
  • 4월 24일 서울돈화문국악당 - 소리꾼 한혜선, 판소리 춘향가 발표회
    1. 공연명 : 소리꾼 한혜선, 판소리 춘향가 발표회 2. 장소 : 서울돈화문국악당 ▶ 지도보기 3. 날짜 : 2022년 4월 24일 4. 시간 : 오후 2시 5. 티켓료 : 무료초대 6. 문의 : 010-2226-0039 7. ▶ 공연정보 더보기 ◆ 출연진 : 소리 ▶ 한혜선 프로필 , 고수 ▶ 최광수 프로필
    • 공연소식
    • 서울
    2022-04-13
  • 4월 22일 세종문화회관 - 서울시청소년국악단 ‘최고의 라인업’ (농악,종묘제례악,동해안별신굿,범패,풍류)
    1. 공연명 : 최고의 라인업2. 장소 :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4월 22일 (금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5. 티켓료: R 40,000원 / S 30,000원6. 문의 : 02-399-1000, 1181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김준영, 강지은, 김소라, 방지원, 신현석 (예술감독 김성국)
    • 공연소식
    • 서울
    2022-04-12
  • 민요의 새로운 행보를 보여주는 소리꾼 추다혜, 4월 7일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에서 공연 펼쳐
    무가(巫歌, 무속음악)와 펑크, 레게 등을 결합해 대중으로부터 폭발적인 반응을 이끈 공연팀 ‘추다혜차지스’의 ‘추다혜’가 4월 7일(목) 오전 11시에 서울문화재단 대학로센터(종로구 동숭길122)에서 공연한다. ▶ 추다혜 프로필 소리꾼 추다혜는 서도 민요를 기반으로 다양한 음악적, 연극적 요소를 활용해 장르의 경계를 과감하게 넘나드는 국악 창작자다. 한국 민요를 록(rock) 음악과 결합해 민요의 새로운 방향을 보여주는 전방위적인 음악 행보를 하고 있다. 2020년에 결성한 창작음악그룹 ‘추다혜차지스’를 통해 2021년 제18회 한국대중음악상에서 ‘최우수 알앤비&소울 노래’부문에서 수상한 바 있다. 이번에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추다혜차지스’가 아닌 소리꾼 ‘추다혜’만의 목소리로 채우는 어쿠스틱 버전의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비나수+’, ‘오늘날에야’, ‘사는새’, ‘리츄얼댄스’, ‘에허리쑹거야’ 총 다섯 곡의 무대를 통해 그동안 소홀히 했던 우리의 무가라는 음악 장르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가 펼쳐진다. 첫 곡으로 선보이는 ‘비나수+’는 평안도 서낭굿의 무가다. '비는 손(손 없는 날)'이라는 뜻으로 굿을 하는 날을 의미하는 이 곡은 장소, 행하는 이유를 읊고, 신에게 굿이 잘 되길 기원하는 가사 내용을 담아 신을 청할 때 부르는 노래이다. 앞부분엔 간결하면서도 강력한 베이스라인을 통해 루츠 레게의 색채를 강하게 내뿜는다. 여기에 ‘+(플러스)’로 구분 지은 노래의 뒷부분은 보컬에 맞춰 흘러가는 자유로운 연주를 통해 실제 굿판에서의 악사와 무당의 관계를 재조명했다. 이외에도 평안도 다리굿의 무가인 ‘오늘날에야’, 제주도 칠머리당영등굿의 무가 ‘사는 새’, 제주도 무가(무속음악)이자 제주도 대표 민요인 서우제소리를 재해석한 ‘리츄얼댄스’, 황해도 뱃굿에서 쓰이는 무가 ‘에헤리쑹거야’ 등의 무대를 통해 대학로 나들이를 나온 시민의 발걸음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록과 재즈의 문법이 혼재된 장르적 경계와 구분을 넘나드는 3인조 크로스오버 재즈 밴드 ‘만동(Mandong)’의 공연도 같은 날 펼쳐진다. 2020년 첫 번째 앨범 ‘먼저 출발해야지’를 발매하며 왕성한 활동하는 ‘만동’은 음악가와 미술가의 컬래버레이션으로 장르의 확장을 시도한 것이 특징이다. 이날 공연에서는 ‘Sun Room’. ‘홍시색 노을 위로’, ‘귀여움의 강도’ 등을 통해 팬들의 마음을 다시 한번 두드릴 예정이다. 한편 이번 무대는 서울문화재단에서 한 달에 한 번, 오전 11시에 선보이는 예술공감 콘서트인 '서울 스테이지11(Seoul Stage eleven)'의 일환으로 펼쳐진다. 재단은 평소 예술가의 창작활동(레지던시) 등을 목적으로 운영해 시민의 방문 기회가 적었던 창작공간 11곳을 공연 무대로 제공한다. 오는 연말까지 100여 개의 예술 단체가 펼치는 공연을 통해 총 7천여 명의 시민에게 매월 특별한 오전을 선사하는 것이 목표다. ▶ 서울문화재단 홈페이지
    • 공연소식
    • 서울
    2022-04-05
  • 4월 19일 ~ 5월 5일 서울국립극장 - 어린이 음악회 '엔통이의 동요나라2'
    1. 공연명 : 어린이 음악회 '엔통이의 동요나라2'2. 장소 :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하늘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4월 19일 ~ 5월 5일4. 시간 : 화, 수, 목, 금 11:00 / 토, 일, 어린이날(목) 14:00 5. 티켓료 : 전석 20,000원6. 문의 : 02-2280-4114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서어진, 심소라, 윤지선, 이원경, 이윤서, 최준희, 연주 국립국악관현악단 (예술감독 김성진, 작곡 및 음악감독 함현상, 연출 정종임, 지휘 이승훤, 안무 정현숙)
    • 공연소식
    • 서울
    2022-04-04
  • 4월 7일 세종문화회관 - 크라운해태제과 '제1회 한음회'
    1. 공연명 : '제1회 한음회'2. 장소 : 서울 종로구 세종대극장 ▶ 지도보기3. 날짜 : 2022년 4월 7일 (목요일)4. 시간 : 오후 7시 30분 5. 티켓료 : 전석 무료초대6. 문의 : 락음국악단 010-3113-68487. 공연정보 더보기 ▶ 인터넷 예매하기◆ 출연진 : 사회 박범훈, 김정수, 정명숙, 이춘희, 안숙선, 왕기석, 강정숙, 정예진, 이재화, 안옥선, 최경만, 김영길, 손정진, 고정훈, 정혜빈, 정명숙, 진유림, 강효주, 채수현 등 관련기사 보기 ▶ 국악 사랑에 진심인 크라운해태제과, 최고의 꾼들과 '한음' 알리기 나선다
    • 공연소식
    • 서울
    2022-03-31
비밀번호 :